Profile img

악하

@akastoot@hackers.pub · 133 following · 101 followers

설계 능력 없고 코딩 AI보다 못하고 뭔가 이상한 걸 만들고 있고 (, http://referral.akaiaoon.dev) 매일 커피나 마시는 이제 직장이 없는 SE

GitHub
@IAOON
Referral Project
referral.akaiaoon.dev
4
1
4
2
0
0

OpenAI의 gpt-oss 모델에 이어, RAG (검색 증강 생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임베딩 모델을 Google에서 새롭게 오픈 소스로 공개헀습니다.

EmbeddingGemma라는 이름의 임베딩 모델로, 고성능 하드웨어 없이도 RAG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를 포함한 수많은 언어를 지원하도록 개발된 모델이어서 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재빨리 File-based App과 Semantic Kernel용으로 개발된 sqlite-vec 확장 모듈을 붙여서 프로토타입 코드를 만들어봤는데, 잘 작동하는 것 같네요! :-D

https://forum.dotnetdev.kr/t/google-embeddinggemma-ollama-sqlite-vec-rag/13754

1


오는 사람, 가는 사람 말리지 않습니다냥.
여러분의 타임라인에 곧 복학하는 방구석 잉여를 키워 보세요!

- 컴공 대학생 4학년이에요
- 일본어에도 관심이 있어, 일본어권 연합우주와도 가끔씩 교류하는 편이에요
- 게임을 가볍게 하고 있어요. 요즘에는 드럼매니아와 작혼에 관심이 있어요.
- 일단 k.lapy.link의 운영자예요
- 매일 어딘가 흐물흐물하게 굴러다니고 있어요
- 밀면 광인입니다.
밀면맛집 추천해주세요밀면.:milmyeon:

게시물로는... 평소 일상의 파편 내지는 문득 떠오른 생각을 위주로 게시할 것 같아요.

타임라인에 굴러다니는 마리모를 키워 보세요!
감사합니다냥.

2
0

네이티브 니홍고 스피커 부러운점: 다국어 지원하는 '씹덕'겜을 할때 타 언어로 바꾸는 걸 대부분 고려에도 안 올릴 정도로 '언어적씹덕정체성'이 높은 점

딴 언어 원어민들에게 "내 모국어는 모에하지 않아"라는 감상이 드물지 않게 나올 때 일본어쟁이들이 "일본어는 모에하지 않아"라곤 하지 않으니까

이게 왜 부럽냐면
지금이야 더빙까가 옛날에 비해 기승을 부리지 않지만(근데 이것도 씹덕 사이에서나지 비-씹덕 킹반인들에게는 아직 입지가 부족한 거 같고)
옛날엔 정말 "한국어는 모에하지 않다"라는 이유로 까는 더빙까가 많았기에…

0
13
0
0
8

오는 11월 8일 토요일 오전 10시, 광운대학교에서 열리는 FOSS for All 컨퍼런스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FOSS for All 컨퍼런스는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for All"이라는 슬로건 아래, 모두를 위한 오픈 소스 컨퍼런스를 목표로 하는 비영리 오픈소스 커뮤니티 주도의 컨퍼런스입니다.

FOSS for All 컨퍼런스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커뮤니티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개발자, 기여자, 디자이너, 번역가, 기획자 등 다양한 역할의 사람들이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장으로 기술 발표, 커뮤니티 부스, 패널 토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될 예정입니다.

많은 후원과 참여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D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3

악하 shared the below article:

How to Build a Simple ActivityPub Reminder Bot in Python

AmaseCocoa @cocoa@hackers.pub

This post guides you through building a simple ActivityPub bot in Python using the `apkit` library. The bot listens for mentions and schedules reminders for users. It covers setting up the project, generating cryptographic keys for secure communication, defining the bot's identity as an ActivityPub Actor, and initializing the `apkit` server. The tutorial walks through the core logic for parsing reminder commands, sending notifications, and defining necessary web endpoints like `/actor` and `/inbox`. It also details how to handle incoming activities, such as `Follow` and `Create` events, and how to run the application using `uvicorn`. While the example uses in-memory storage for simplicity, the post suggests improvements like persistent storage and robust task queuing for production environments. This tutorial provides a solid foundation for building more complex ActivityPub applications.

Read more →
16
1
0
17
0
0
3
2
0
0
8
0
0
0

오늘 모임 전까지는 만들어서 공개하고 싶었는데ㅠㅠ 수업 준비가 바빠서 진도를 못내고 있네요... 사실 PF까지는 다 만들었는데 문서 쓰는게 일입니다... 각종 튜토리얼에, 차근차근 진행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에 등등.... 그래도,,,, 많이 기대해주세요,,, 년 단위 프로젝트가 되겠지만...

8
0
8

QGIS - 무료/오픈소스이며 크로스플랫폼 지원을 제공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
------------------------------
-
QGIS 는 무료, 오픈소스, 그리고 윈도우, 맥, 리눅스에서 동작하는 *강력한 지리 정보 시스템(GIS)*
- 다양한 *벡터, 래스터, 메쉬,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며, 복잡한 공간 데이터 관리 및 시각화 기능 제공
- 2D와 3D 렌더링, 심볼, 레이블, 범례 등 *카토그래피 도구* 가 다양하게…
------------------------------
https://news.hada.io/topic?id=23061&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7
3
6

PgEdge가 오픈 소스로 전환됨
------------------------------
- 분산 PostgreSQL 전문 기업
pgEdge 가 핵심 컴포넌트를 기존의 소스 공개 방식에서 *오픈 소스 라이선스* 로 전환
- 기존에는 Spock, Snowflake, Lolor 같은 주요 엔진과 확장 기능이
pgEdge Community License 로 제공되어 사용에 제약이 있었음
- 이번에 모든 핵심 저장소를
PostgreSQL License 로 재…
------------------------------
https://news.hada.io/topic?id=23050&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9
1
6
0
0
0

Finally, embrace provisional trust. The wizard model means working with “good enough” more often, not because we're lowering standards, but because perfect verification is becoming impossible. The question isn't “Is this completely correct?” but “Is this useful enough for this purpose?”

https://www.oneusefulthing.org/p/on-working-with-wizards

마지막으로, 잠정적 신뢰를 받아들이세요. 마법사 모델은 ‘충분히 좋은’ 상태로 더 자주 작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준을 낮추기 때문이 아니라 완벽한 검증이 불가능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핵심 질문은 “이것이 완전히 정확한가?”가 아니라 “이것이 이 목적에 충분히 유용한가?”입니다.

— 위 인용을 DeepL로 번역

전적으로 동의하고 애자일 관점에서도 좋은 방향이라고 생각하지만, 완벽주의적인 성향이 있는 사람으로서 무시하기 어려운 심리적 저항이 꽤 자주 발생하곤 한다. 에이전트를 위한 지침을 자세히 적는 것으로 최대한 타협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직 맘에 쏙 드는 방법을 발견하지는 못함.

1
14
0
1

24년 된 게임큐브용 동물의 숲, 메모리 해킹으로 대화 시스템을 LLM으로 교체하다
------------------------------
- 고전 게임 *동물의 숲(GameCube, 2001)* 의 반복적인 대사를 실시간 *클라우드 기반 LLM 대화* 로 바꾸는 프로젝트
- 게임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메모리 해킹과 공유 메모리(mailbox) 방식* 을 통해 외부 Python 스크립트와 AI를 연결
- 게임의 텍스트는 단순 문자열이 아닌 *특수 제어 코드 언어* 로 처리…
------------------------------
https://news.hada.io/topic?id=23016&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1

Postgres 커뮤니티에 이제 OrioleDB 특허가 자유롭게 공개됨
------------------------------
-
Supabase 가 OrioleDB 특허를 최종 인수 완료함
- *미국 특허 10,325,030* (Durable multiversion B+-tree)에 대한 비독점적 라이선스를 OrioleDB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함
-
OrioleDB 는 Postgres의 기존 스토리지 엔진을 대체하는 *고성능 확장* 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성능과 확장성을 대폭 향상시킴
- 이…
------------------------------
https://news.hada.io/topic?id=23021&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