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ackers'Pub 에 첫 발을 디디게 되었어요. 잘 부탁드립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961 following · 674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に。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자바스크립트에서 label for loops에서 label이 자주 사용되는 문법인가요? 어떤 의도로 만들어진거에요 #javascript
한때 이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텍스트로 된 소스 코드가 아닌 문법 트리를 직접 편집하는 식의 IDE를 구상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이제 대 LLM 시대가 와서 AI도 텍스트를 주로 다루잖아. 우린 안 될 거야 아마.
오픈소스에 토큰으로 기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있나? Buy me tokens?
atuin stats 근황
내가 제일 많이 쓰는 명령어는 cd 였다. 그리고 ll, npx 순.. tig 도 아슬아슬하게 순위권.
❯ atuin stats
[▮▮▮▮▮▮▮▮▮▮] 389 cd
[▮▮▮▮▮▮ ] 248 ll
[▮▮▮▮▮ ] 200 npx
[▮▮▮▮ ] 184 ssh
[▮▮▮▮ ] 178 vi
[▮▮ ] 95 curl
[▮▮ ] 84 ls
[▮▮ ] 78 clear
[▮ ] 74 brew
[▮ ] 69 tig
Total commands: 2906
Unique commands: 1096
Biome 2.1 has been released!
It's a relatively minor maintenance release, but still has some goodies:
* Faster scanner
* Improved type inference
* New rules
* Many fixes!
야크 털 깎기 안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 지금 필요한것: 일정 시간 동안만 설문을 수집하여 결과 확인하기
- 올바른 구현: 구글 폼
- 실제로 하고 있는것: 일정 시간만 공개되는 설문을 실시간 퀴즈 풀기 사이트와 유사하므로 웹소켓으로 퀴즈 내용을 알려주는 풀스택 웹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boilerplate에 혹시 모를 task 관리를 위해 redis 붙이고 celery 붙이고 모니터링 붙일지 말지 고민하기
I just published a blog post about the OpenCLI initiative. I think it's time we had a way to standardize CLI automation!
Feedback, suggestions, and thoughts are more than welcome.
https://patriksvensson.se/posts/2025/07/introducing-open-cli
기존에 구현된 코드가 아무리봐도 어떻게 수정해야 할지 감이 안잡혀서 뭐가 더 좋을지 분석해달라고 함.
シンプルになった
충격... 클로드 코드 한달째 쓰면서 개행을 오늘 처음 해봄..... vim 키맵 쓰고, 개행할때 o 타이핑해서 아래에 줄 만들고, hjkl 이동해야만 위아래로 이동이 가능한 줄 알았어....
XCode는 내가 잘 몰라서 못쓰는건지 그냥 구려서 쓰기힘든건지 아직도 모르겠다...
오늘의 Zed 싱글벙글: Inlay Hint에 non-ASCII 텍스트가 있을 경우 Go to Definition하려고 커맨드 누른 채로 커서 올리면 에디터 전체 패닉 남
깨알팁: 유효한 유니코드 코드포인트 값의 범위에는 구멍이 있습니다. UTF-16을 위해 만들어진 surrogate pair 영역입니다. 이 영역의 값은 UTF-16 외에서는 의미가 없고 사용될 수 없습니다.
UTF-16이 한 트롤링으로 Byte Order Mark (U+FFFE) 라는 것도 있죠... UTF-16LE인지 UTF-16BE인지 확인하기 위해 바이트 인코딩된 문자열 맨 앞에 넣는 문자인데 (0xFE가 먼저 오면 LE) 어떤 에디터는 이걸 UTF-8 문자열에도 집어넣어서 UTF-8인지 확인하겠다고 설치고 다니는 이하생략
여섯자리 16진수가 적힌 두부......
깨알팁: 유효한 유니코드 코드포인트 값의 범위에는 구멍이 있습니다. UTF-16을 위해 만들어진 surrogate pair 영역입니다. 이 영역의 값은 UTF-16 외에서는 의미가 없고 사용될 수 없습니다.
역시 코드는 추가할 때보다 삭제할 때가 더 타격감이 좋다
𝑾𝒉𝒚𝒓𝒂𝒏𝒐...
const light = 300000
역시 LLM은 숫자를 모른다.
GCC의 name mangling에는 글자수가 있는데, 3가지 name mangling 요청한 것 중 2개가 글자수가 틀려서 잘못된 결과물이 나왔다. 하지만 MSVC 스타일에는 글자수가 없어서 그동안 너무 잘해줬고...
안녕하세요! 이번에 fedify 오픈소스 멘티로 참여하게 되어 해커스펍에도 가입하게 됐어요~~ 현재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일하고 있고 okky에서 팀원들을 만나 톡픽이라는 작은 프로젝트를 현재 만들고 있습니다! 7월까지 마무리 예정이라 출근 전 후로 바쁘게 달리고 있네요..!
그리고 오픈소스 멘티로도 참여하게되어 아주 바쁜 삶을 살게되었습니다. 이런 삶 너무 만족스럽습니다 전 약간 발등에 불이 떨어져야 그나마..해내는 편이기때문에
블로그에도 글을 쓰고 있어요! 저도 멋드러지게 쓰고 싶은데 아직 어떻게 접근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서 그냥 거의 조각글 수준으로 쓰고 있습니다...ㅋㅋㅋㅋ 한 번 구경오세요>< https://hyeonlogforweb.tistory.com/
이 글을 보고, Windows에서 Git Bash를 통해서 Claude Code를 쓰고 있는데, 일단 동작이 큰 문제 없이 되는 것만으로도 만족스럽습니다.
몇가지 문제사항이 있기는 합니다.
- IDE 통합 기능이 동작안하는 것
- 페이지 스크롤링 관련된 동작이 한번씩 오동작 하면서 이상한 곳을 보여준다던가...
하지만 전반적으로 잘 동작합니다.
회의중 잠깐 쉬는 타이밍에 사우님들이 프로세스상의 아쉬움을 말하길래 그냥 내가 총대들고 결정권자에게 대포를 쏘니깐, 다들 왤케 좋아들 하시냐?
얼마나 갑갑했으면.
코딩 할 거 없어서 심심하신 분들
gemini-cli는 이상한 맥락을 기억해서 나랑 자꾸 다툰다...
자꾸 A를 B로 바꿔서 내가 A로 돌려놓고 C를 고쳐달라고 하면 또 C를 고치면서 A도 B로 은근슬쩍 바꿔둠
그런 거 쓸 거면 Python 안 쓰죠
프로그래밍 언어의 언권?투사가 되게 만드는 발언이군요.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든 저런 취급을 받아선 안됩니다. 설령 PHP, 아니 Brainfuck이라고 하더라도 린터와 포매터는 갖추고 살아야합니다.
@bglbgl gwyng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DSL 정의가 잦거나 좀 많이 유연한 형태로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있는 언어들(Lean/Agda/Coq가 예시로 언급된 걸 본 듯한)은 포매터에 대한 저항이 이해가 가기도 하는데, 요즘은 이런 경우에도 LLM 등을 사용해서 코드 스타일을 최소한의 수준(탭/스페이스 통일, trailing spaces 제거, 괄호 짝 및 인덴트 맞추기 등....)으로는 관리해주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
셸에 쳐야할 git status 명령어를 Claude Code에게 보내서 토큰을 낭비하는 모습, 스크린에 점묘화. 568 (H) x 1264 (W) px.
중국어권 언어는 대충 zh-(tw|hk|mo) → zh-hant, zh-(cn|sg) → zh-hans 정도로 처리를 해뒀는데 … 갑자기 궁금해져서 API 서버로 들어오는 헤더에서 대충 뽑아보니까 -hk/-sg/-mo는 이렇더라.
- zh-hk > en > zh-hant > 이하 생략
- zh-sg > en > (ms|ta)-sg > zh-hans > 이하 생략
- zh-mo > pt-mo > zh-hk > zh-hant > en > 이하 생략
Discord は主にユーザコミュニティな気がするし、もっと言えば日本語のそういったコミュニティをあまり知らない
Discordもまあまあみかける気はするがそうなのかもなー
わたしはDiscordのUIがなぜかめちゃくちゃ苦手
아는 친구한테 들은 얘기인데, 최근 이직한 회사에서 Python을 쓰는데 린트나 포매터 같은 것도 전혀 설정을 안 해놓고 살고 있기에 도입하자고 했더니 “그런 거 쓸 거면 Python 안 쓰죠”라는 말과 함께 제안을 거절 당했다고 한다. Python에서도 린트나 포매터는 물론이고 타입 체커까지 붙여서 살려면 살 수 있지만, 어쩐지 그런 거 신경 쓸 사람들은 최근 10년 사이에 다들 다른 언어로 넘어가 버리고 그런 거 신경 안 쓰는 사람들만 Python을 계속 쓰게 된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슬쩍 `echo "ruff format" >> .git/hooks/pre-commit`
그런 거 쓸 거면 Python 안 쓰죠
프로그래밍 언어의 언권?투사가 되게 만드는 발언이군요.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든 저런 취급을 받아선 안됩니다. 설령 PHP, 아니 Brainfuck이라고 하더라도 린터와 포매터는 갖추고 살아야합니다.
@bglbgl gwyng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프로그래밍 언어 권리장전을 제정해야 합니다!(아무말)
아는 친구한테 들은 얘기인데, 최근 이직한 회사에서 Python을 쓰는데 린트나 포매터 같은 것도 전혀 설정을 안 해놓고 살고 있기에 도입하자고 했더니 “그런 거 쓸 거면 Python 안 쓰죠”라는 말과 함께 제안을 거절 당했다고 한다. Python에서도 린트나 포매터는 물론이고 타입 체커까지 붙여서 살려면 살 수 있지만, 어쩐지 그런 거 신경 쓸 사람들은 최근 10년 사이에 다들 다른 언어로 넘어가 버리고 그런 거 신경 안 쓰는 사람들만 Python을 계속 쓰게 된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런 거 쓸 거면 Python 안 쓰죠
프로그래밍 언어의 언권?투사가 되게 만드는 발언이군요.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든 저런 취급을 받아선 안됩니다. 설령 PHP, 아니 Brainfuck이라고 하더라도 린터와 포매터는 갖추고 살아야합니다.
이제 막 해커스펍에 도착하여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둘러보는 나
아마 폰트에 없어서인지 다 네모 박스로 표시되는구나 했는데, 자세히 보니 네모 박스 안에 16진수 값으로 표시해 주고 있었네 👀 이게 어떻게 이렇게 되지 했는데 렌더링 해주는 쪽 재량이라는 듯 하다. Chrome (그리고 Electron) 은 그냥 네모로 보인다.
django admin 그만 쓰는 법
@robin_makirobin 저 Base64로 인코딩 된 건 뭐가 들어간 건지 너무 신경쓰여요... 설치 스크립트들 중에 제일 수상한 유형
@jarm정아름 세계최초 티셔츠로 전파되는 악성코드(
검색을 해 봤는데 https://sci.tea-nifty.com/blog/2025/05/post-7f3fa2.html 라고 하더라구요
(재밌는 사실) word joiner라고 하는 안 보이는 문자를 넣으면 자동링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eatch.dev (h와 . 사이) #해시태그아님 (#와 해 사이) https://example.com (s와 : 사이, e와 . 사이)
아이쇼핑 하다가 이걸 보고 홀린 듯 구매해버림
해커스펍의 정체. 버튼을 누르면 어떻게 되나요
Pelican을 기준으로,
- docker 개발(hot-reload), 프로덕션(nginx) 환경 구축
- jinja2 tag, filter, macro 사용하기 (+ context)
- GitHub Action으로 build 테스트 + PR merge시 GitHub Pages로 deploy하기
하는 내용이 동봉되어있습니다. 약간 튜토리얼을 겸한달까요...
이왕 이렇게 된거 후기 글도 쓰고 정말로 튜토리얼도 만들고 할까 싶었지만... 코딩 하느라 좀 지쳐버린ㅠ
https://github.com/anthropics/dxt 개념 재밌네. chrome extension(.crx)처럼 MCP를 .dxt로 패키징해서, desktop app에서 drag-and-drop을 가능하게끔 하자는거네~
이전에 A/B테스트에 대해 쓴 글의 다시 쓰기. 다들 A/B테스트와 행복하게 지내고 계신가요 많이들 쓰시지만 여전히 그다지 행복하지는 않은 것 같아서, 이전 글이지만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이래저래 쓰다 은근 시간이 많이 걸렸고 결국 처음 안으로 돌아오면서, 오늘날에 재미나 개성도 크게 없는 긴 실용글을 직접 쓰는 게 큰 도움이 될까 하는 생각을 조금 하지만 그래도 아마 나쁘지 않은 것도 같다. 그레이트 올드원이 될거야.
최신 Unicode Han Database 중 숫자 표현을 보면 아래 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근데 저 유니코드를 검색해보니 兆가 나오고 이는 두번째 값인 1000000000000 이 맞는 값인 것 같은데
U+5146 kPrimaryNumeric 1000000 1000000000000
kPrimaryNumeric 속성 설명에 의하면 첫 번째 값이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취급되는 것이 맞다는 것 같아서 의문이 들었다 🤔
If an ideograph has more than one numeric value, the first one is to be considered the most common one, and that first value is used for the Numeric_Value property of the ideograph.
Claude에게 물어보니 지역적이거나 역사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라 해서 중국에서 다르게 쓰나 싶었는데, 위키백과 문서들을 참고하니 兆의 의미가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기도 했고, 표기법(셈법?)에 따라 또 다른 듯 하다. 지금 사용하는 단위마다 10000배씩 변화하는 방식은 만진법이라고 하는 것 같다.
대학원 연구실 홈페이지 생성기를 만들었습니다. Jekyll은 Ruby니까, 이번엔 Python을 좀 써보자 싶어서 Pelican으로 구현했습니다. Article을 일종의 DB처럼 사용해서 멤버나 논문, 뉴스, 강의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솔직히는 하루이틀이면 끝날줄 알았는데 만드는데 거의 full-time으로 일주일이 걸렸네요. macro에서 왜 context가 전달이 안되는지, filter에서는 왜 안되는지, GitHub Action은 왜 맨날 뻑이 나는지... branch 규칙도 여러번 수정하고 github pages로 내보낼때만 fork me 리본 달아주고 등등... 왤케 자잘하게 할게 많은지ㅠ
Pelican 자체는 쓸만하더라구요. 필요한 기능이 거의 다 있습니다. 근데 없는것처럼 보여요. 근데 다 있긴 합니다.
암튼... 구경와주세요
GitHub에서 PR 할 때 Copilot한테 리뷰 부탁하는거 나쁘지 않네요. 자명한 오타나 실수를 AI로 체크 한다는 느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