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음, iOS Safari에서 뭔가 스타일이 깨지는 문제가 있군요.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955 following · 669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に。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고쳤습니다.
그 동안에는 Mastodon 등 다른 연합우주 인스턴스에서 앙케트를 만들면 Hackers' Pub에서는 앙케트의 선택지가 보이지도 않고 참여할 수도 없었는데요, 이제 Hackers' Pub에서도 앙케트(poll)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아직 Hackers' Pub에서 새 앙케트를 만드는 기능은 구현되지 않았습니다. 새 앙케트를 만드는 기능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으면 구현하도록 하겠습니다. 언제나 같은 패턴이지만, UI 만드는 게 힘들어서요. 😅
으음, iOS Safari에서 뭔가 스타일이 깨지는 문제가 있군요.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아니 언제 투표기능이 들어간거에요 ㅋㅋㅋㅋ
@kodingwarriorJaeyeol Lee 방금 배포했습니다. ㅋㅋㅋ
그 동안에는 Mastodon 등 다른 연합우주 인스턴스에서 앙케트를 만들면 Hackers' Pub에서는 앙케트의 선택지가 보이지도 않고 참여할 수도 없었는데요, 이제 Hackers' Pub에서도 앙케트(poll)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아직 Hackers' Pub에서 새 앙케트를 만드는 기능은 구현되지 않았습니다. 새 앙케트를 만드는 기능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으면 구현하도록 하겠습니다. 언제나 같은 패턴이지만, UI 만드는 게 힘들어서요. 😅
洪 民憙 (Hong Minhee)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함수형 언어의 평가와 선택
Ailrun (UTC-5/-4) @ailrun@hackers.pub
이 글은 함수형 언어의 핵심 개념을 람다 대수를 통해 소개하며, 함수형 언어의 평가 방식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합니다. 람다 대수의 기본 요소인 변수, 함수, 함수 호출을 설명하고, 값에 의한 호출(CBV)과 이름에 의한 호출(CBN)의 차이점을 명확히 분석합니다. 특히, 폴 블레인 레비의 "값 밀기에 의한 호출(CBPV)"을 소개하며, 이 방식이 CBV와 CBN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임을 강조합니다. CBPV가 함수와 함수 호출을 스택 기반으로 어떻게 다르게 해석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람다 대수를 기계 수준으로 컴파일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설명합니다. 항수 분석과 같은 최적화 기법을 CBPV를 통해 어떻게 더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 보여주며, GHC 컴파일러의 중간 언어로서 CBPV의 중요성을 부각합니다. 이 글은 함수형 언어의 깊은 이론적 배경과 실제 컴파일러 구현 사이의 연결고리를 탐구하고자 하는 독자에게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Read more →
@ailrunAilrun (UTC-5/-4) 좋은 글 감사합니다!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함수형 언어의 평가와 선택
Ailrun (UTC-5/-4) @ailrun@hackers.pub
이 글은 함수형 언어의 핵심 개념을 람다 대수를 통해 소개하며, 함수형 언어의 평가 방식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합니다. 람다 대수의 기본 요소인 변수, 함수, 함수 호출을 설명하고, 값에 의한 호출(CBV)과 이름에 의한 호출(CBN)의 차이점을 명확히 분석합니다. 특히, 폴 블레인 레비의 "값 밀기에 의한 호출(CBPV)"을 소개하며, 이 방식이 CBV와 CBN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임을 강조합니다. CBPV가 함수와 함수 호출을 스택 기반으로 어떻게 다르게 해석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람다 대수를 기계 수준으로 컴파일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설명합니다. 항수 분석과 같은 최적화 기법을 CBPV를 통해 어떻게 더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 보여주며, GHC 컴파일러의 중간 언어로서 CBPV의 중요성을 부각합니다. 이 글은 함수형 언어의 깊은 이론적 배경과 실제 컴파일러 구현 사이의 연결고리를 탐구하고자 하는 독자에게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Read more →여태 모나드 가르칠때 그냥 do notation부터 알려주고 알아서 써보라고했는데 절반정도는 잘 따라왔다.
문법적으로 <-를 넣어야할 위치만 아는 상태에서도 코드를 웬만큼 짰다.
즉, next token prediction은 휴먼에게도 좋은 학습 방법이다.
RE: https://hackers.pub/@xt/01963d1e-e20c-77c5-a395-69c592137fb3
@bglbgl gwyng 요즘에는 JavaScript 등에서 await 문법 경험해 본 분들이 많아서 더 쉬워진 것 같아요.
여태 모나드 가르칠때 그냥 do notation부터 알려주고 알아서 써보라고했는데 절반정도는 잘 따라왔다.
문법적으로 <-를 넣어야할 위치만 아는 상태에서도 코드를 웬만큼 짰다.
즉, next token prediction은 휴먼에게도 좋은 학습 방법이다.
RE: https://hackers.pub/@xt/01963d1e-e20c-77c5-a395-69c592137fb3
다들 모나드 괴담을 한번씩 보셔야합니다
DAG 꾸미기: 패키지 매니저의 디펜던시 그래프에서 쓸데없는 패키지를 정리하는 행위
저도 두 가지 쟁점 모두 동의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별개의 이야기입니다만, $ 를 가르칠 때에는 그냥 문법이라고 가르치는 게 학습자의 이해와 응용이 압도적으로 빠르고 좋았습니다.
"이건 여기서부터 뒤로는 다 괄호로 감싸겠다는 뜻이라고 생각하세요."
이러면 한 방에 설명이 끝나고, 필요성이나 편리성에 대해서도 알아서들 납득하는 것이죠. 연산자 우선순위나 좌결합 우결합 등은 그게 되고 나서 얘기하고요. 그러면 "아, 이게 그래서 이렇게 되는 거였군요?" 하면서, 훨씬 쉽게 이해합니다. 이걸 거꾸로 좌결합 우결합 어쩌고부터 가르치려고 하면 다들 꾸벅꾸벅 졸아요... ㅋㅋ ㅠㅠ
(결국 "모나드란 무엇인가"부터 배우면/가르치면 안 된다는 주장과 같은 맥락입니다.)
RE: https://hackers.pub/@bgl/01963c3b-98fa-7432-a62f-0d2dfc0691bf
저도 두 가지 쟁점 모두 동의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별개의 이야기입니다만, $ 를 가르칠 때에는 그냥 문법이라고 가르치는 게 학습자의 이해와 응용이 압도적으로 빠르고 좋았습니다.
"이건 여기서부터 뒤로는 다 괄호로 감싸겠다는 뜻이라고 생각하세요."
이러면 한 방에 설명이 끝나고, 필요성이나 편리성에 대해서도 알아서들 납득하는 것이죠. 연산자 우선순위나 좌결합 우결합 등은 그게 되고 나서 얘기하고요. 그러면 "아, 이게 그래서 이렇게 되는 거였군요?" 하면서, 훨씬 쉽게 이해합니다. 이걸 거꾸로 좌결합 우결합 어쩌고부터 가르치려고 하면 다들 꾸벅꾸벅 졸아요... ㅋㅋ ㅠㅠ
(결국 "모나드란 무엇인가"부터 배우면/가르치면 안 된다는 주장과 같은 맥락입니다.)
RE: https://hackers.pub/@bgl/01963c3b-98fa-7432-a62f-0d2dfc0691bf
"기능을 빨리 내놓으세요"는 절대 아니고, 필요한 기능, 아이디어들 리스트업하는 의미입니다. 깃헙 리포가서 이슈 남겨야 하는데, 영어로 남기려니, 사소한 거는 멈칫합니다. 다음 번엔 꼭 이슈로 가겠습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lionhairdino 한국어로 남기셔도 됩니다!
파폭에서 탭 고정pinning을 해서 SNS들을 쓰고 있는데요. 알림 박스의 빨간점이, 다른 서비스들 처럼 파비콘에도 찍히면 좋겠는데요.(그림에서 링크드인은 새 글도 있고, DM도 있고) 아직 기능이 없으면 조용히 기다리려 했는데, 알림 박스 기능이 이미 있으니, 뭔가 어렵지 않은 작업으로 되지 않을까 싶어 글 남깁니다.
@lionhairdino 조만간 구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feedly를 잘 쓰고 있지만 ghost pro의 activityPub 인터그레이션 사용 감각도 괜찮아서, 이걸 충분히 많은 블로그와 웹툰(xkcd도 rss feed를 발행한다) 등이 적용한다면, 연합우주를 좀 더 적극적으로 쓸 수도 있을 것 같다.
@curry박준규
@bglbgl gwyng 저도 예전에 Lisp나 Smalltalk 좋아했을 때는 문법 요소가 최대한 적은 걸 선호했는데, 나이가 드니까 문법 요소를 극도로 줄이는 건 미학의 영역일 뿐 실용적이진 않다는 생각이 들어 Haskell 정도가 딱 적당하다고 느끼게 됐네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curry박준규 저도 Lisp을 첨에 봤을땐 감탄했는데요. 지금 보면 그냥 파서짜기 싫었나보다 정도의 생각이 듭니다ㅋㅋ
@bglbgl gwyng 한편 저는 문법 요소가 가능한 적어야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하스켈을 처음 봤을 때 Bool이 라이브러리인 게 좋았어요.
data Bool = False | True
@curry박준규
@bglbgl gwyng 저도 예전에 Lisp나 Smalltalk 좋아했을 때는 문법 요소가 최대한 적은 걸 선호했는데, 나이가 드니까 문법 요소를 극도로 줄이는 건 미학의 영역일 뿐 실용적이진 않다는 생각이 들어 Haskell 정도가 딱 적당하다고 느끼게 됐네요.
하스켈에서 $가 infix operator가 아니라 문법 요소여야 한다는 얘기에는 동의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근데 1 + $ 2 + 3도 1 + (2 + 3)으로 변환되어야 한다고 하면 다들 싫어한다ㅋㅋ 근데 나는 저것도 좋다고 본다.
하스켈 언어 서버HLS 2.10.0.0에 go to implementation 기능이 생겼네요. .cabal 파일 지원도 많이 들어갔다 합니다.
하스켈 언어 서버HLS 2.10.0.0에 go to implementation 기능이 생겼네요. .cabal 파일 지원도 많이 들어갔다 합니다.
@lionhairdino 이게 이제서야… 허허허.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lionhairdino 파이어폭스에서도 타 플랫폼에선 Windows Hello나 iCloud 패스키 등을 정상적으로 지원하는데, 아마 NixOS를 사용 중이셔서 불러올 플랫폼 API가 없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
@xiniha
@lionhairdino 아, 그런 거군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대부분 USB 장비는 없을테고, 스마트폰을 위한 QR화면이 떠야 될 것 같은데, 그 건 해펍에서 지원해줘야 되는 거지요?
@lionhairdino 아, 아마 Firefox에서 패스키를 아직 생체 인증으로는 지원 안 하고 외장 보안 키만 지원하는 모양이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1Password를 쓰고 있는데, WebAuthn API를 1Password 브라우저 확장이 제공해주는 식이라 Firefox에서도 문제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패스키 개념이 없어, 검색에 의존해서 NixOS, 파이어폭스, 인증 장비는 스마트폰으로 어찌 해보려 했더니, 안되는 건가 봅니다. PC에서 기존 메일 방식으로 로그인 하고, 아이폰에서는 패스키로 로그인 해야겠습니다.
@lionhairdino 혹시 어떤 식으로 안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오류 메시지라든가… Hackers' Pub 구현의 문제일 수 있어서요.
RN에 새 런타임이 옛날거보다 오히려 느리다는 이슈를 제보했는데, 솔직히 좀 황당하다. 그냥 대기업이 오픈 소스 메인테인을 못한다...는 아니다. 난 단순히 잡버그/미구현기능 많은거는 망치가 부족한가보다 정도로 이해한다.
근데 요 이슈는 RN 메인테이너 쪽에서 지난 1+년간 새 런타임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적극적으로 권유했는데, 이런 기본적인 문제가 파악안되고 있었던거면 흠... 저 정도 규모의 프로젝트를 운영하는게 어떤지 잘 몰라서 뭔가 더이상 말을 얹기는 어렵겠지만, 쨋든 설명이 더 필요하다 느낀다.
딱 오늘까지만 (하던 거 오늘 못 끝내면 내일 오전까지만) ActivityPub 연합 관련 기능 만들고, 그 뒤에는 자체 기능에 집중해야지…
@bglbgl gwyng
@kodingwarriorJaeyeol Lee
@lionhairdino
제 심상이랑은 좀 다르네요. 저는 H의 중간 막대가 좀 아래로, H가 좌우로 살짝 벌어져있고 P가 좀 더 바짝 붙은 형태를 상상했습니다. Inkscape 켜서 직접 그리기에는 졸리네요 😅
@ailrunAilrun (UTC-5/-4)
@lionhairdino
@kodingwarriorJaeyeol Lee
@bglbgl gwyng 지나가다 보고 아이디어가 넘 좋아서 살포시...
@ailrunAilrun (UTC-5/-4)
@kodingwarriorJaeyeol Lee
@lionhairdino 아아 어떤 느낌인지 상상이 갑니다. 저는@parksb
님이 하신것처럼 맥주가 차있으면 좋겠다싶어 H 중간 막대를 위로 올렸습니다.
H가 컵이고, P가 손잡이어야 하는데, H가 컵 모양이 잘 안나와서, 포기하고 그냥 맥주에 담가 버렸습니다. (근데 호스트분 아주 근거리에 디자이너분 계신 거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ailrunAilrun (UTC-5/-4)
맥에서 VS Code의 현재 창(탭 아님)만 닫고싶을때 ⌘+⇧+W 이거 누르면 되는걸 이제 알았다;; 몰라서 맨날 마우스썼는데
아주 오래 전, 스콧마이어스 책을 곽용재님 번역으로 봤었는데, (아는 분은 아니고, 이 분 C++ 번역 책을, 번역책으론 드물게 좋아합니다.) 오, 스콧의 정리가 여러 사람의 시간을 살리겠구나.. 했었습니다. 근데, 지금 보면, Effective C ++ 책에 있는 내용들은, 왜 프로그래머가 조심하고, 조심하게 만들었을까 싶은 것들이 수두룩 합니다. 이런 것들은 기계가(혹은 언어 스펙이) 알아서 해야 할 일들 아닌가 싶습니다.
예전엔 스콧의 테크닉쯤은 미리 알고 있는 게 숙련자였는데, 모던? 언어들을 만지는 지금은 그 테크닉들이 다 원시적으로 보입니다. 한 때는 밥벌이에 필수 지식이었을텐데요.
最近はHackers' Pubのコーディングばかりで、Holloのアップデートが出来なかった。マルチタスクは大変!
해커뉴스에서 Fabrice Bellard의 QuickJS가 한 파일에 5만줄 집어 넣고 한 함수가 몇백 몇천줄 되는 걸 보고서 파일 및 함수 길이를 강력하게 제한하는 도그마가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라는 코멘트를 보았는데 이는 반만 맞는 말이다. 나도 대부분의 개발자보다 파일이나 함수 길이에 훨씬 관대한 (그리고 이 사실을 한참 뒤에야 깨달은) 사람이라 아는 건데, 그냥 Bellard가 5만줄 전체의 맥락을 전부 기억하고 있고 해당 코드를 거의 Bellard만 건들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모듈화할 필요가 없는 거고, 대부분은 그 정도의 기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여럿이 같이 짜는 코드라면 최저치에 맞춰서 파일이나 함수 길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지나친 도그마를 부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도그마가 생긴 진짜 이유를 파악해서 취사 선택하는 것이 더 중요한 이유.
비디오 테스트인데, 성급히 하트를 날렸습니다. 근데, 홈서버인데, 영상도 버틸까요... 제가 걱정할 일은 아닌데, 걱정이 되네요? ㅎㅎ
@lionhairdino 원본 비디오를 저장 안 하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사소한 업데이트지만… 기존에는 다른 연합우주 인스턴스로부터 비디오가 첨부된 단문이 왔을 때 비디오는 아예 누락되었는데, 이제는 비디오의 섬네일이 보이고 누르면 비디오가 재생되도록 만들었습니다. 다만, 여전히 Hackers' Pub에서 비디오를 첨부하는 기능은 구현되지 않았습니다. (우선 순위가 낮아서 언제 구현될 지 저도 모르겠네요.)
RE: https://hollo.social/@hongminhee/01963809-041e-7b26-a242-a8e1cc4b0afc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도구들이 모두들 Alembic을 본받아서 브랜치와 머지를 지원했으면 좋겠다…
오브젝트 스토리지 추상화 계층으로 FlyDrive를 쓰고 있는데… 이건 어째서 Disk.getUrl() 메서드가 Promise<string>을 반환하게 해 뒀을까…? 아무데서나 쉽게 호출할 수가 없네.
아니, 사실은 v2.0이 되었는데도 아직도 비동기 컴포넌트를 지원 안 하는 Fresh 탓을 해야 하나?
오브젝트 스토리지 추상화 계층으로 FlyDrive를 쓰고 있는데… 이건 어째서 Disk.getUrl() 메서드가 Promise<string>을 반환하게 해 뒀을까…? 아무데서나 쉽게 호출할 수가 없네.
洪 民憙 (Hong Minhee)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안녕하세요.
JakeSeo @jakeseo@hackers.pub
새로운 블로그의 시작을 알리는 첫 글입니다. 간단한 자기소개와 함께 블로그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독자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려는 노력이 돋보이며, 앞으로 어떤 이야기들이 펼쳐질지 궁금하게 만듭니다.
Read more →
@jakeseo 어서 오세요!
https://lists.w3.org/Archives/Public/public-swicg/2025Apr/0015.html
> […] having spoken with folks who provide services to extremely marginalized trans sex workers who do street work, it was not uncommon for them to either be robbed and have their only phone taken or to need to sell the device to make ends meet. (And no, they didn't have other devices)
> If our social networking apps suddenly require users to securely store private key material and ensure that is not lost, then we're going to be excluding not insignificant portions of society from social networking apps.
これは目から鱗だった
헐...... Gemini한테 해커스펍 로고 뽑아달라고 했는데, 요렇게 나옴.,.....
난 JS에서 comma operator를 *> 느낌으로 자주 쓴다. 가령 (x, y) => (assert(x), assert(y), x + y) 요런 식으로 말이다.
근데 확실히 마이너인게, 저렇게 하면 모든 종류의 linter들한테 탄압받는다.
어째서 ActivityPub을 바닥부터 구현하는 것보다 Fedify를 쓰는 게 여러모로 나은지에 대한 글(영어)을 썼습니다.
@kkungMinyoung Jeong 님 어서 오세요!
요즘 바이브 코딩을 계속 시도해 보고 있는데, 국제화 등의 작업에서는 아주 만족스러운 반면, 다소 복잡한 과업에서는… 너무 헤매거나, 너무 오래 걸리는 것 같다. 결국 답답해서 직접 코딩하게 되는 것의 반복.
아, 일단 여태까지는 Claude Sonnet 3.7을 주로 쓰긴 했다. Gemini 2.5 Pro도 써 보긴 해야 하는데…
그나저나 작년 12월에 MVP로 목표했던 기능 중에 하나가 패스키였는데… 이것으로 처음 생각했던 MVP는 달성한 것 같다.
お気に入りのQrunchがサービス終了してからは、はてなブログPro使ってます(というほど書いてませんが)。
まぁ、有料ブログ使っていくべきじゃないかなーと思うわけです。
それはそれとして、最近Hacker's Pubを試させて貰う機会を得ました。少しだけ招待できるので、ほしい人は言ってください。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그렇잖아도 최근에 계정이 몇개 털리면서 패스키 지원되는 대부분의 계정에 패스키 등록을 해놓은 상태였는데 Hackers' Pub 도 패스키 지원이 되어 기쁩니다. 😂
@arkjunJuntai Park 사실은 저도 로그인이 좀 귀찮았었다는… 😂
Ditch the DIY Drama: Why Use Fedify Instead of Building ActivityPub from Scratch? https://lobste.rs/s/ebab2d #distributed #web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why-use-fedify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감사합니다! 혹시 좋은 환경이나 팁 있으면 알려주시면 살펴보겠습니다 (_ _)
@cojette 로그인이 풀리는 현상은 원인을 찾지 못했지만… 로그인 자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패스키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RE: https://hackers.pub/@hongminhee/0196346c-11c0-7620-8e3c-090bb3261d0e
지금까지 Hackers' Pub은 반드시 이메일을 통해 로그인 링크를 수신하는 식으로만 로그인이 가능했는데, 사실은 많이 번거로웠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 Hackers' Pub에 패스키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패스키 추가는 설정 → 패스키 페이지에서 할 수 있으며, 패스키가 등록된 기기 및 브라우저에서는 로그인 페이지에서 자동적으로 패스키를 사용할 것인지 묻는 창이 뜨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