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に。

Website
hongminhee.org
GitHub
@dahlia
Hollo
@hongminhee@hollo.social
DEV
@hongminhee
velog
@hongminhee
Qiita
@hongminhee
Zenn
@hongminhee
Matrix
@hongminhee:matrix.org
X
@hongminhee
0
7

I wrote an op-ed on the world-class STEM research eco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how this ecosystem is now under attack on multiple fronts by the current administration: newsletter.ofthebrave.org/p/im

0

바이브 코딩?으로 홈페이지 리뉴얼 하면서 느낀 점:

예전에도 그랬지만, 이제는 더욱더 메이저 오픈소스 툴을 써야 한다. hugo로 만든 웹페이지 W3C Validator 에러, 워닝 메시지 긁어서 hugo로 만들었는데 이게 왜 뜨지? 했더니, 어 이거는 자주 하는 실수인데 해결책은 이거다, 라고 바로 알려주네.

소스 코드와 결과물들이 많아 학습이 잘 된 툴과 아닌 툴의 생산성 차이가 무섭게 난다... 오픈소스 아니면 그냥 유튜브, 문서들 요약정리한 수준인 경우가 많은데 소스 코드 들여다 본 LLM은 완전히 다른 수준의 응답을 해 줌.

3

conal 리팩토링하면서 느끼는건데, 그래프 다루는 코드는 검증하는게 특히 어렵다. 특히 중요한 성질들을 타입으로 보장을 못해서 테스트와 assert 문으로 때우는수밖에 없다. 아마 하스켈로 했더라도 별반 다르지 않았을듯.

5
3

わざわざこんなことするのには理由があって、結局フレームワークと統合するにも今のアプローチだと限界があるっていうのが1つの理由 (今の方法だとその新しいフレームワークの方法 (FastAPIみたいにStarletteベースにする)よりも統合が弱くなる)。もう一つはapkitだから別のプロトコルに対応させるのは明らかに変だっていうこと。まぁ後者はATとかサポートするか怪しいから適当

2

apmodelとapsigの上に構築されたapkitの上に構築されたStarletteをベースとしたActivityPubフレームワークっていうとんでもなくわかりにくい書き方のものが生まれそう

3
2
3
3
14
1
2

(연합 테스트용) 해커스펍은 ActivityPub Note에 별도의 ostatus conversation도 context도 없다 이걸 마스토돈에서 보면 임의의 conversation id를 만들어준다

1
2
11

개인적으로 만들고 있던 작은 프로젝트다. M4 매크로 언어와 Scheme(LISP)를 같이 섞은 느낌으로 제작한 프로젝트다.

아직은 제대로 된 분기 시스템이나 기초 stdlib이 많이 빈약하다. 하지만 본래 목적인 개인적인 용도의 노트 목적으로는 잘 사용할수 있을 듯 하다.

M4처럼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인터페이스가 필요한데 어떤 부분을 추가시키면 좋을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macro language demo
1
2
0
12
0
6
0
0
0
0
8
1
2

もとにしたプロンプトは日本語だけど簡単に置き換えできるし一応言語の部分書き換えれば普通に別の言語のも作れると思う。ただdocs/index.mdだけ手動なのでそれは自分で直さないといけない (そもそもファイルの内容を翻訳したうえでこっちで一部置き換えてるのでAIの翻訳対応させる気にならないし面倒くさい)

1
16
1
2
3
1
3
1
9

고려대학교 소속 동아리 MatKor, AlKor, ALPS 주관으로 열리는 프로그래밍 대회인 MatKor Cup이 드디어 마지막을 맞이합니다!

📅 대회 개요

🏅 솔브드 뱃지 & 배경 해금 조건 (예정, 변동 가능)

  • 🎖 뱃지: 예비소집 + 본대회 7점 이상
  • 🖼 배경: 예비소집 + 본대회 77점 이상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맷코 더 파이널 포스터
6

파이콘 1일차 참가. 이제 9년이나 된 2016년 APAC 노랑 파랑 팔찌 굿즈 차고 제주공항에서 넘어 와 당일에 참석했습니다.

들으려 온 발표 시간 외에는, 지인이 운영하는 페디버스 부스에 머물러서 오는 분 마다 연합우주를 간단히 소개했습니다.

PyCon APAC 2016 노랑 팔찌, 파란 고무 팔찌를 손목에 두르고 애플워치를 낀 모습에  사진이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초점이 안 잡힌 외곽에는 공항 탑승장 유리 넘어 비행기가 흐릿하게 보인다.티켓 발권 미니 디스플레이에 "김무훈님, 안녕하세요!
제주대학교 소속" 라고 표시되어 있다.벽에 붙인 A4 규격의 퍼스터 문구

환영해요!
def welcome():

파이콘 한국은
서로 환영하는 분위기를 독려합니다.

파이콘 한국 2025에 오신 여러분을 모두 진심으로 환영합니다!페디버스 후원사 부스에 아이패드를 내놓고 잠시 앉아 있다. 왼쪽 하단에 랩탑 측면이 보인다.
7
3
2
11
1
1

아 즐거운 소식이다...

원문: https://lwn.net/SubscriberLink/1032604/73596e0c3ed1945a/ 번역 요약: https://news.hada.io/topic?id=22540

너무 좋은 소식이다. ArchLinux의 위키가 하던 방식을 Debian에서도 하겠다는 소식... 나같은 경우에도, ArchLinux를 만나고 난뒤부터는 Linux 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명령어를 ArchLinux 위키에서 찾아보고 어떤게 있는지 많은 것들을 공부했었는데... 그 와 비슷한 위키를 Debain 위키에서도 적용을 해 나가겠다는 것은 Debain이 가지고 있는 패키지들의 사용법을 한곳으로 모으는 좋은 글 집합체가 되길 바란다. 한국어 번역은 AI가 잘해줄꺼야 :) 사람이 번역안해도 되겠지뭐... :)

6

개방형 오피스가 코딩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일종의 또 다른 ADHD 상태를 만든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에 대해 어느 정도는 그럴 수 있지 하고 생각하면서도 많은 부분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데... 사무실 내의 소리나 환경적 문제를 제외하면 Slack 등의 업무용 메신저나 메일 등의 알림은 집에서도 사무실에서도 똑같이 발생한다. 내가 업무 시간 중 일정 시간 안에 답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알림 설정을 미리 해두지 않으면 결국 어디서 일하던간에 알림으로 인한 스트레스나 방해는 똑같이 받게 된다는 점이다. 또한 사무실 내의 다른 소리나 시각적 문제로 집중력을 떨어트릴 수 있다. 근데 이것도 잘 생각해보면 집에서도 가족이나 동거인, 키우는 동물 등이 있다면 똑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닐까.

결국은 어디에서 일하던간에 본인이 편안한 환경을 만들고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 글은 본인의 생산성을 환경에 따라 측정해서 자신만의 데이터를 뽑아낸게 굉장히 의미있다. 아마 제품의 홍보 목적도 겸하는 것이 되겠지만 말이다.

https://floustate.com/blog/open-office-secondhand-adhd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