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s of debugging a JSR publishing hang that only happens in production. Works instantly on local server, hangs for minutes on jsr.io. The worst kind of bug: unreproducible. I give up for today.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937 following · 651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に。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오늘도 Emacs 쓰다가 알게 되었는데
리처드 스톨만도 Emacs 키바인딩 못참고 1987년에 vi-switch-mode 만들어서 GNU Emacs에 넣었다. (b20cd8dbd051aa561257df965c0d3eaef5df069e)
알고계십니까? 고대의 언어인 줄 알았던 Smalltalk 친척 Self는 놀랍게도 최근까지도 업데이트가 되고 있습니다. https://selflanguage.org/
JavaScript의 .prototype 개념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진 Self가 어떤 언어인지 궁금하시다면 Series about Self(lobste.rs)를 읽어보세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여러분의 시야가 넓어지는 데에 도움이 될 겁니다.
한국어 번역:
내가 사는 동네에 지하가 아닌 짭튜사가 필요하다. 배비지의 기계라던가 에이다의 별장이라던가…
오늘의 #cosmoslide 삽질
분명히 로컬 개발환경에서는 의도한대로 Federation 잘 동작하고 있는데, 왜 프로덕션에서는 팔로우도 제대로 동작안하고, Create(Note) 액티비티는 왜 제대로 안 들어오고 /users/inbox 라는 이상한 엉뚱한 경로로 들어오나하고 한참을 까봤다. sharedInbox 경로만 엉뚱한 URL 패턴을 가지고 있었다.... 프론트엔드/백엔드 분리하긴 했다만, 리다이렉션도 제대로 안 걸어둬서 생긴 오류였다. 아이고두야....
사실 모델 전환하면 계속 쓸 수 있는데 그냥 오랜만에 전부 직접 해보고 싶어서 수제 코딩으로 일을 했다. 이전 대비 시간은 오래걸렸지만 뭔가 잊고 있던 감각이 돌아오는 것 같았음
이렇게 전국에 짭튜사 바람이 불어버리고...
튜사가 서울 바깥에 지점을 만들어주지 않는다면 돈을 많이 벌어서 짭튜사를 차리겠다
이름 뭐로하지?
그레이스의 나방??
강서구에 튜링의 사과를...
OSSCA 발대식 날 팀원들과 찍은 사진을 지금 와서 다시 보니까
사진 찍었을 때 중앙에 있는 팀원들이 기여도가 높던데
처음 몇 십 분~몇 시간 사이에 이미 적극성이 드러난 거였을까 싶음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하스켈로 배우는 프로그래밍》(2009, 대림) 옮긴이의 말
박준규 @curry@hackers.pub
이 글은 2009년 출간된 《하스켈로 배우는 프로그래밍》의 옮긴이 머리말을 공유한 것으로, 하스켈이 단순한 학술적 언어를 넘어 실무적인 범용 언어로 발전한 배경과 그 우수성을 설명합니다. 다양한 업계에서 상용 소프트웨어의 핵심 기술로 활용되는 하스켈은 효율적인 컴파일 언어이면서도 스크립트 언어처럼 빠른 개발이 가능하며, 안전한 정적 타입 언어이면서도 동적 타입 언어처럼 유연한 특징을 지닙니다. 특히 타입 클래스라는 독특한 기능을 통해 코드의 확장성을 높이고, 오브젝트 중심 언어의 인터페이스보다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하스켈은 프로그래밍 언어 연구 성과를 충실히 반영하여 개발 효율성과 코드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IT 전문가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으며, 이 글은 하스켈의 장점을 다양한 예시와 함께 소개하여 독자들이 하스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깊이 있는 학습으로 나아가도록 안내합니다.
Read more →근데 정말로 튜링의 사과는 국내 IT 산업의 발전을 위해 거점마다 설치할 필요가 있음…
하 걍 내가 사는 동네에다 짭튜사 만들어버리고 싶음
PC방 매입해서 모니터만 남겨두고 본체 갖다 판 돈으로 키보드랑 개발 서적 사두면 튜사 아님?(이딴 발언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JSR 측에 이슈라도 남겨봐야 할까요...
@2chanhaeng초무 JSR 공식 Discord 서버 쳐들어가서 한 번 따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 튜사 가고 싶어
자 몸아 가라
몸: 오늘부로 파업합니다
@2chanhaeng초무 너무 멀어서 큰 결심이 필요하실 것 같은… 😂
강 넘고 산 넘어 로컬에 JSR 서버 세팅하고 @fedify/* 패키지가 의존하는 모든 직간접 종속 패키지를 내 로컬 JSR에 올린 다음에 (아주 많은 저장소를 체크아웃해야 했다…) 드디어 @fedify/* 패키지들을 로컬 JSR 서버에 올릴 수 있게 되었는데… 재현이 안 된다. 분명 공식 JSR 서버에서는 몇 분 씩 걸리는 처리도 로컬에서는 몇 초만에 끝나고, 타임아웃도 안 난다. 대체 뭐가 다른 거냐…
그래서 이제 정말 어쩌지… 😟
내일도 튜사 갈까말까...
알맘은 제가 가면 오신다는 뜻인가요
진짜 이름만 들어도 아는 프로젝트들 사이에 있는 Fedify...
We invest globally in the open software components that underpin Germany's and Europe's competitiveness and ability to innovate. Improving the security, stability, and reusability of open software components directly enhances the productivity, competitive edge, and capacity for innovation of startups and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We’re excited to be working with these maintainers and FOSS communities, and to support the software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the infrastructure of the 21st century.
Here are some of the projects the Sovereign Tech Fund has recently commissioned work on:
Scala, SDCC, Let's Encrypt, Servo, chatmail, Drupal, Fedify, openprinting, PHP, Apache Arrow, Open SSL, R Project, Open Web Docs, conda, systemd, and phpseclib
servo 써보는데 한글 입력 시 플레이스홀더랑 글자가 겹쳐보이는 문제가 있어서 수정함. https://github.com/servo/servo/pull/40082
미루고 미루던 "로버스 나이스트롬의 인터프리터 in Java, C"를 마저 읽고 있는데 C로 구현하는 부분에 있어서 감탄만 하면서 읽고 있다. 추가로 내가 C를 잘 할 줄 몰랐구나 라는 반성과 함께...
SNS에서 내 이름 보이는게 너무 부담스러워서 닉네임으로 바꿈
ㄴ 핸들 그대로인데요
ㄴㄴ 그건 한글 아니라서 괜찮음
내일도 튜사 갈까말까...
JSR 서버 개발 환경을 로컬에 세팅하기 귀찮아서 여태까지는 JSR 서버를 블랙박스로 보고 디버깅을 했는데, 역시 아무래도 안 되겠다. 그냥 JSR 서버 로컬에 세팅해서 디버깅을 해 보기로.
강 넘고 산 넘어 로컬에 JSR 서버 세팅하고 @fedify/* 패키지가 의존하는 모든 직간접 종속 패키지를 내 로컬 JSR에 올린 다음에 (아주 많은 저장소를 체크아웃해야 했다…) 드디어 @fedify/* 패키지들을 로컬 JSR 서버에 올릴 수 있게 되었는데… 재현이 안 된다. 분명 공식 JSR 서버에서는 몇 분 씩 걸리는 처리도 로컬에서는 몇 초만에 끝나고, 타임아웃도 안 난다. 대체 뭐가 다른 거냐…
한편 토끼펀치 한방에 전원이 나가버리는 해커스펍 서버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보니까 s3 클라이언트도 내장이군요ㅋㅋ 아예 외부 패키지의 필요성을 제거해 패키지 매니저까지 없애겠다는 야심이라면 이해해보려 노력하겠습니다..
@bglbgl gwyng 모든 걸 다 내장하고 라이브러리 수준에서 설정해야 할 걸 런타임 수준에서 설정하게 만든다는 점이 정말로 PHP와 닮았습니다… 😂
FOSS for All 등록했다
fedify로 블로그 만들기 - 4
드디어 노트를 쓰면 탐라에 올라와요! 기능은 다 만든거죠 이러면...으히히
Windows에서도 Claude code가 실행 되는걸 오늘 알았는데 문제는 bash를 자꾸만 쓰네... 웃긴건 bash를 쓰면서 명령은 powershell 용으로 생성한다
진짜 너무 공대생스럽다...
JSR과 씨름한 지 닷새째인데 이게 맞나 싶다… 😩
JSR 서버 개발 환경을 로컬에 세팅하기 귀찮아서 여태까지는 JSR 서버를 블랙박스로 보고 디버깅을 했는데, 역시 아무래도 안 되겠다. 그냥 JSR 서버 로컬에 세팅해서 디버깅을 해 보기로.
오늘은 #cosmoslide 에서 안 쓰는 백엔드 코드 걷어내고, AI 프롬프트 다듬고, 다른 프로젝트 참고해서 문서 보강하는 작업 위주로 하고 있다
When it comes to MCPs, everything we know about API design is wrong https://blog.fsck.com/2025/10/19/mcps-are-not-like-other-apis/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IoT] Guide for IoT Beginners
Juan @juanjin@hackers.pub
This technical blog post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mystifying its core concepts and architecture. It explains how IoT bridges the physical and digital worlds through interconnected devices, gateways, service applications, and servers. The pos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oT for individuals, businesses, and society, highlighting its potential to enhance convenience,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The author explores essential IoT components, including end-devices, gateways, servers, and service applications, detailing their roles in sensing, transmitting, processing, and acting on data. It also addresses common misconceptions about IoT, clarifying that it extends beyond smart homes and involves multidisciplinary systems. The post further discusses network topologies like direct connections, hierarchical connections, and mesh networks, explaining their trade-offs in terms of power, scalability, and resilience. Additionally, the author delves into non-IP connection technologies, such as UART, CAN, IEEE 802.11, Bluetooth/BLE, LoRa, and GNSS, and application protocols like LoRaWAN, MAVLink, UAVCAN, NMEA/UBX, Thread, CoAP, MQTT, and LwM2M. The post also covers Firmware Update Over-The-Air (FUOTA) and IoT security, emphasizing the need for cryptographic foundations, secure communication, secure boot, and access control. The author concludes by calling for greater investment, education, and ecosystem building in IoT, particularly in South Korea, to catch up with global advancements. This post is valuable for anyone seek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IoT and its potential impact on various aspects of life and industry.
Read more →오... 뭔가 traffic이 늘었다 했더니 여긴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질문이 있습니다! Follow 이벤트 수신 받는 코드에서
if (followingId == null) {
logger.debug(
"Failed to find the actor to follow in the database: {object}",
{ object },
);
}
중간에 이렇게 followingId null 체크를 하던데, return이 없어서 여전히 followingId가 string | null이라 아래 INSERT 문에서 오류가 생길 것 같은데, return을 추가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스키마가 null을 허용해서 괜찮은 걸까요? 저는 prisma로 짜던 중이었는데 오류가 나서 여쭤봅니다!
db.prepare(
"INSERT INTO follows (following_id, follower_id) VALUES (?, ?)",
).run(followingId, followerId);
@bananamilk452레몬그린 음… 아마도 early return을 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튜토리얼의 버그 같네요!
- 일전에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이 만든 Upyo를 그때 당시 진행하던 프로젝트에 도입하여, AWS환경(SES)에서 잘 사용하고 있다. (감사합니다.) - 이번 프로젝트도 그때 프로젝트 소스를 기반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클라우드만은 NCP(Naver Cloud Platform)환경으로 해야해서,
SMTP옵션으로 하면 되겠다 싶고 넘어갔었는데, 막상 연동하려니 NCP 메일발송서비스에는SMTP옵션이 없다. - Cloud Outbound Mailer 개요를 참고해 보면 RESTful 형태로만 지원한다.
- 결국 이번 프로젝트에는 Upyo를 적용하지 못하게 된 이야기
@arkjunJuntai Park 엇… 트랜스포트를 하나 더 추가하면 좋을 것 같네요!
洪 民憙 (Hong Minhee)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안녕 세계!
김태희 (탐정토끼) @stelo_kim@hackers.pub
일론 머스크에 대항하여 자유/오픈소스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Fediverse 활동을 시작하려는 여정을 소개합니다. 기존 해커스펍 계정을 활용하여 글을 작성하고, 트위터에는 미리보기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소통할 계획입니다. Fediverse에서의 활동을 통해 자유와 오픈소스 가치를 옹호하고, 더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Read more →
@stelo_kim김태희 (탐정토끼) 어서 오세요!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안녕 세계!
김태희 (탐정토끼) @stelo_kim@hackers.pub
일론 머스크에 대항하여 자유/오픈소스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Fediverse 활동을 시작하려는 여정을 소개합니다. 기존 해커스펍 계정을 활용하여 글을 작성하고, 트위터에는 미리보기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소통할 계획입니다. Fediverse에서의 활동을 통해 자유와 오픈소스 가치를 옹호하고, 더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Read more →✈️ 해외까지 갈 필요 없는 글로벌 컨퍼런스!
🇰🇷 국내에서 즐기는 FOSS for All Conference 2025
💰 단돈 2만원으로 오픈소스의 모든 것을
📅 2025.11.08(토)
📍 광운대학교 새빛관·비마관
🎫 지금 바로 신청
👉 https://event-us.kr/fossforall/event/110400
Currently, apmodel does not uses any JSON-LD processor.
I should test to integrate pyld for apmodel...
이제 잘 올라오네. 뭐였지…. 아무튼 해결되었습니다. FYI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jjme정진명 어떤 현상인지 저도 알 것 같긴 한데, 어떻게 고쳐야 할 지 감이 잘 안 잡히더라고요.
JSR과 씨름한 지 닷새째인데 이게 맞나 싶다… 😩
브라우저 구현 스터디를 하다가 알게 된 사실 (1)
Chromium은 최대 redirect 갯수를 20회 정도로 제한하는 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연습문제 1.7 관련)
https://chromium.googlesource.com/chromium/src/+/refs/heads/main/net/url_request/url_request.h
fedify로 블로그 만드는 일기 - 3
와 이젠 키 교환까지! 이제 그러면 미스키에서도 lookup 되려나?
Windows Sandbox를 활용하는 MCP 서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식탁보 프로젝트가 금융 거래를 위한 보안 샌드박스에서 출발했지만, AI와 결합하여 안전한 AI 실행 환경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고도화하는 것을 목표로 또 다른 종류의 스핀오프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 있습니다.
오늘 드디어 biome을 처음 써봄
설정한 게 많지 않아서 그럴 수도 있지만
엄청나게 빨라서 좋았다
韓国のある小さな中小IT企業で、未経験〜3年目ほどのエンジニアを募集したところ、たった2日で150名以上の応募があった。
それを見ると、40代半ばの中小企業エンジニアの人生も楽ではないけれど、 20代・30代の若手エンジニアたちの人生も決して楽ではないのだと思う。
20年前も就職は難しかったが、今の方が環境的にはずっと良いはずなのに、体感的な就職の難しさはあまり変わっていない気がする。
コロナ禍の頃を思い出すと、あの時のエンジニアの待遇は今とは比べものにならないほど良かった。「エンジニア戦国時代」とまで言われたあの時代を思うと、今の状況は本当に皮肉だ。
春は、もう一度訪れるのだろうか。
── これは、韓国の小さな中小IT企業の一人のエンジニアの視点からの話である。
오늘의 #cosmoslide 기여. 코스모슬라이드가 최소한의 기능을 할 수 있게끔, 코스모슬라이드의 두 가지 피쳐를 추가(및 약간의 변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