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 562 following · 418 followers

Neovim Super villain. 풀스택 엔지니어 내지는 프로덕트 엔지니어라고 스스로를 소개하지만 사실상 잡부를 담당하는 사람. CLI 도구를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Hackers' Pub에서는 자발적으로 바이럴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 Hackers' Pub의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믿습니다.

그 외에도 개발자 커뮤니티 생태계에 다양한 시도들을 합니다. 지금은 https://vim.kr / https://fedidev.kr 디스코드 운영 중

Blog
kodingwarrior.github.io
mastodon
@kodingwarrior@silicon.moe
Github
@malkoG
0
2
2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LogTape 0.12.0 Release Notes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LogTape, a zero-dependency logging library for JavaScript and TypeScript, has released version 0.12.0 with several enhancements. The update introduces a new `trace` log level for more granular debugging and improves file sink performance through configurable buffering. A significant addition is the `@logtape/syslog` package, enabling log message transmission to syslog servers using RFC 5424. The update also includes `Logger.warning()` as an alias for `Logger.warn()` for consistency. Furthermore, all LogTape packages now share unified versioning for better compatibility. The build infrastructure has been migrated from `dnt` to `tsdown`, enhancing compatibility with modern JavaScript toolchains and improving build times. This release optimizes logging capabilities and ensures smoother integration with various JavaScript runtimes.

Read more →
9
2

사실(fact)은 어떻게 근대성(modernity)의 가장 선호되는 지식 단위가 되었을까? 경제학과 사회과학의 전신에서 설명은 어떻게 이론과 분리 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을까?

메리 푸비(Mary Poovey)는 그녀의 저서 A History of the Modern Fact에서 이러한 질문들을 탐구한다. 그녀는 1588년에 출판된 영국 최초의 복식부기 매뉴얼부터 1830년대 통계의 제도화에 이르기까지,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텍스트와 사상들을 종횡무진하며 이 문제를 파헤친다. 푸비는 관찰된 개별 사실들에 대한 서술로부터 체계적인 지식을 생산하는 방식이 정부의 작동 방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보여주며, 숫자(numerical representation)가 유용한 사실을 생성하는 특권적인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된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그녀는 지식 생산에 있어서 ‘믿음’이—그것이 신용, 신뢰성, 혹은 잘 믿는 성향으로 표현되든 간에—여전히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음을 강조한다.

https://press.uchicago.edu/ucp/books/book/chicago/H/bo3614698.html

0
3

BoF 세션을 준비하는 것 자체가 너무 처음이라서 10분-15분 안쪽으로 교통정리하는 차원에서 에디터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맥락 빠르게 정리하고, 청중들이 어떻게 참여를 할 수 있는지 브레인스토밍중

3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스마트홈 세팅

제이미 @theeluwin@hackers.pub

신혼집에 스마트홈을 구축한 경험을 공유하는 이 글은 LG 가전제품과 헤이홈, 미니빅 기기를 활용한 자동화 루틴을 소개합니다. 아침 기상 시 전동 커튼이 열리고, 로봇청소기가 작동하는 등 시간대별로 설정된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일상생활의 편리함을 더했습니다. 특히, 화장실 환풍기를 헤이홈 푸쉬봇으로 제어하여 반신욕 시 온도 유지를 돕는 등 개인적인 필요에 맞춘 스마트홈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이 글은 독자들에게 스마트홈 구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자동화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Read more →
5
7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미리알림을 이용한 생활 루틴 자동화

제이미 @theeluwin@hackers.pub

이 글은 아이폰의 '미리알림' 앱을 활용하여 일상 및 업무 루틴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DHD 성향을 가진 저자는 주기적으로 해야 하는 일들을 잊지 않기 위해 '미리알림'을 통해 알림을 받고, 이를 통해 뇌의 인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성을 높입니다. 작업을 세분화하고, 완료 후 즉시 체크하는 방식을 통해 미루는 습관을 개선하고,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받습니다. 또한, '미리알림'을 자주 확인하는 습관을 통해 중요한 일들을 잊지 않도록 관리하며, '구글 캘린더'와 일기장을 병행하여 전체적인 일정 관리와 자기 성찰을 돕습니다. 이 시스템은 루틴 관리를 자동화하고, 새로운 습관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용한 방법입니다.

Read more →
7

안녕하세요 혹시 일본어 독학하신 분께 팁 좀 공유 받을 수 있을까요? 여름 방학에 배우려고 합니다. 목표는 게임 스크립트 읽기이고 지금 생각하고 있는 방법은 문자를 외우고 냅다 읽는다 입니다

0

misskey.ioの最近のMAU, WAU, DAUってわかりますか?
ログインしているかつデータ収集にご協力頂いている方だけで、MAU10万、WAU4.7万、DAU2.1万ぐらいです。

データ収集許可してない方のデータは取ってないので不明ですが、多分もう少し居ると思います。

で質問を受け付けています
https://q.misskey.io/q/mua90gxf5b9z

0
1
8

모두가 AI 얘기를 하는 거 보면 AI가 거대한 흐름이긴 한가보다. https://lucumr.pocoo.org/2025/6/12/agentic-coding/ 개인적으로는 (가치를 가져다줄지 모를 일에) 돈을 쓰고 싶지는 않은 구두쇠라서 조금 망설여지긴 하는데 Claude MAX든 Pro든 곧 결제를 할 것 같다.

3
2

noc.social 이라는 인스턴스에는 클라우드플레어 공식계정이 있구먼.... social.kernel.org도 그렇고 처음보는 인스턴스가 많은데, 이걸 보기좋게 시각화한 디렉터리 서비스 같은게 있으면 좋겠다. 그냥 확 나열해놓기만 한거 말고

7
1
1
1

이번주 내내 게임하느라 시간을 보낸 것 같은데..... 그래도 좀 만회를 해봐야겠어요. 일요일 오후에 노래방 팟이 껴있긴 하지만 크흡..

  • High Performance Browser Networking 당장은 HTTP/2, Optimizing Application Delivery 챕터 끝내기 도즈언.......
  • Ubucon 발표자료 초안 작성 (페디버스는 얼추 끝냈는데, 우분투 환경에서의 에디터 어쩌구가 남음)
3

Next.js 15.1+는 Vercel 외 환경에서 사실상 쓸 수 없다
------------------------------
- Next.js 15.1.8부터 *메타데이터 처리 방식이 변경* 되어 Vercel 이외의 배포 환경에서 심각한 문제 발생
- 메타데이터가 HTML head에 직접 렌더링되지 않고 "메타데이터 스트리밍"이라는 방식으로 따로 전송됨
-
검색 엔진이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으면 메타데이터가 아예 노출되지 않아 SEO가 치명적으…
------------------------------
https://news.hada.io/topic?id=21430&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3

루비온레일즈에서는 CoC라는 게 있습니다.
Convention over Configuration.
그러니까 설정보다 컨벤션을 더 중시하게 본다는 겁니다.
설정 파일에다가 이것저것 적는 것이 아니라 그저 관행대로 하면 알아서 동작하는 거.

예를 들어서 라우트에 articles란 이름의 경로를 만들면, 이 경로는 articles_controller.rb 와 자동으로 매핑이 됩니다.
그리고 articles_controllerindex 액션은 views/articles/index.html.erb 을 자동으로 찾아서 렌더링 합니다.
이를 위한 어떤 설정도 필요 없습니다. 그저 관행일 뿐입니다.
DB 의 테이블 이름과 모델 클래스의 이름이 항상 동일하다는 것도 CoC의 한 예입니다.

처음엔 이런 관행이 짜증 나기도 했습니다.
왜 모든 테이블 이름이 복수형이어야만 하지?
Person 모델이 있으면 당연히 테이블 이름도 person이어야 직관적이지 않나? 왜 people이라는 복수형을 강제하는 거지?
이런 생각으로 반항하며 대들 때마다 레일즈는 고통을 돌려주었습니다.

초반에는 Rails와 많이 다투면서 이런 고집스러운 녀석과는 같이 못 살겠다 생각을 했었습니다만...
그 장점을 받아들이고 나서 드디어 친하게 지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히려 제약하고 강제하면서 코딩이 만사 편해질 수 있구나 하는 걸 배웠습니다.

그런데 이게 꼭 코딩 시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사내 문화에 이런 걸 적용한 회사도 있었습니다.

카카오에 처음 들어갔을 때 영어 닉네임을 정해야만 했습니다.
그 영어 닉네임은 사람들에게 불리는 내 호칭이기도 했지만, 내 이메일 주소가 되기도 했습니다. 사내 github 주소가 되었고 사내 게시판의 닉네임이 되었습니다.
동료의 메일 주소를 물어볼 필요가 없었습니다. 부르는 이름이 메일 주소니까.
저는 Windows 컴퓨터를 사용해왔지만 얄짤없었습니다. 모든 사람들에게 맥북이 지급되었습니다.
사람들의 자유를 너무 제약하고 강제하는 것 아닌가?

돌아보니 이런 문화들이 마치 레일즈의 CoC처럼 느껴집니다.
회사 문화를 처음 만든 사람들이 레일즈를 워낙 좋아해서 영향을 받은 거 아닌가 하는 의심마저 들었습니다.(웃음)
엄격하게 강제하지만 구성원들이 잘 따르기만 하면 모두가 편해지는 관례.

이런 것이 좋을 때도 있다는 사실을 이제는 받아들입니다.

9
2

덴마크 디지털부, Windows와 Microsoft Office를 Linux와 LibreOffice로 교체
------------------------------
- *덴마크 디지털부* 가 전 직원의 *Windows와 Office 365* 를 각각 *Linux와 LibreOffice* 로 단계적으로 전환 중임
- 이번 조치는 덴마크의 *디지털 주권 강화와 특정 공급업체 의존도 감소* 전략의 일환임
- 코펜하겐 및 오르후스 등 주요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확산됨
- 장관은
오픈소스 …
------------------------------
https://news.hada.io/topic?id=21425&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1

교양 과제 때문에 Typst로 이력서 대충 만들었는데 좋다 일단 기본 템플릿 만으로 원하는 결과가 나와서 좋네요 Latex 때는 좀 헤맸음

1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Sealed Secrets - 가볍게 적용 가능한 GitOps with Secret

01010011 @01010011@hackers.pub

Sealed Secrets는 Vault와 같은 외부 Secret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기 어려운 소규모 조직에게 적합한 대안입니다. GitOps 배포 파이프라인에서 API 키와 같은 Secret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 Sealed Secrets는 클러스터 내부의 Secret Controller와 클라이언트 측 유틸리티를 통해 Secret을 암호화하고 관리합니다. 이 방식은 Secret을 Git 리포지토리에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게 하여 GitOps 흐름을 유지하면서도 보안 리스크를 줄여줍니다. AES-256-GCM + RSA-4096 방식으로 암호화된 Secret은 공개 저장소에 저장해도 안전하며, 클러스터에서 복호화되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일반 Secret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ealed Secrets는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지만, 중소 규모 서비스에서 보안과 자동화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Read more →
6
4

빨간 공이 n개, 초록 공이 100-n개 들어있는 불투명한 통이 있습니다. n은 0에서 100까지의 정수 중 균등하게 무작위로 선택됩니다. 통에서 첫 번째 공을 뽑았더니 빨간 공이 나왔습니다. 첫 번째 공을 꺼내두고 통에서 두 번째 공을 뽑을 때, 빨간 공과 초록 공 중 어느 공이 나올 확률이 더 높을까요 (혹은 두 확률이 같을까요)?

출처: https://x.com/littmath/status/1751648838501224790

정답 및 풀이입니다.

정답 빨간 공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풀이 위 문제를 조금 바꿔보면, 일렬로 놓여있는 101개의 공 중 3개를 뽑는 문제로 바꿀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공은 n을 결정합니다. 왼쪽 공은 빨간 공으로, 오른쪽 공은 초록 공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추가로 뽑는 두 개의 색상을 비교해보면 됩니다.

조금 더 고찰해보면 3개의 공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고, 상대적인 위치가 중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상대적인 위치의 순열은 3! 가지 있으며, 뽑은 순서대로 1, 2, 3이라고 하면

1 2 3
1 3 2
2 1 3
2 3 1
3 1 2
3 2 1

이 가능합니다. 문제 조건에 따라 2가 빨간 공이므로, 1보다 왼쪽에 있는 경우만 추리면

2 1 3
2 3 1
3 2 1

의 3가지 경우가 가능하며, 3번 공이 빨간 공일 확률은 2/3임을 알 수 있습니다.

0

빨간 공이 n개, 초록 공이 100-n개 들어있는 불투명한 통이 있습니다. n은 0에서 100까지의 정수 중 균등하게 무작위로 선택됩니다. 통에서 첫 번째 공을 뽑았더니 빨간 공이 나왔습니다. 첫 번째 공을 꺼내두고 통에서 두 번째 공을 뽑을 때, 빨간 공과 초록 공 중 어느 공이 나올 확률이 더 높을까요 (혹은 두 확률이 같을까요)?

출처: https://x.com/littmath/status/1751648838501224790

2
1

📌

여행과 고양이를 좋아하는 오타쿠 프로그래머입니다. 다른 곳에서는 주로 @hellodhlyn 아이디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Ruby, Golang으로 만들고 싶은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 언어(자연어와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두 포함함)에 관심이 많습니다.
  • 프라이버시와 개인 데이터 주권에 대해 고민합니다.

🔗 트위터 : https://twitter.com/hellodhlyn 🔗 깃허브 : https://github.com/hellodhlyn 🔗 블로그 : https://lynlab.co.kr/blog

4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자기소개

Juntai Park @arkjun@hackers.pub

40대 중반의 중소기업 개발자 Park Juntai님의 자기소개입니다. GW-BASIC으로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한 이후 C언어 독학, 일본어 전공을 거쳐 국비 학원을 통해 개발자의 길에 들어섰습니다. 일본계 회사 파견 근무를 시작으로 Java를 주력으로 금융권 SI, 공공기관, 대기업 등에서 파견 개발자로 활동했습니다. 특히 언론사에서 NodeJS를 기반으로 프론트엔드, 백엔드, AWS 인프라 관리, 앱 개발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개발자로서 가장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현재는 중소기업에서 Nest와 Next 기반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며 Cloudflare와 AWS를 활용한 인프라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즐거운 조직문화를 꿈꾸며, 콘솔 게임을 즐기는 평범한 아버지이기도 합니다. Hackers' Pub을 통해 개발자로 살아가는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는 그의 소망은 많은 개발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Read more →
9

  • 중국어를 전공했습니다.
  • 전역하자마자(금요일 전역, 월요일 출근) 강원도에서 제약 영업을 1년 4개월 정도 했습니다.
  • 컴퓨터 학원을 1년 정도 다니면서 정보보안 스터디를 했습니다.
    • 이때 Python, C, Java순으로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했습니다.
  • 정보보안 관제 회사에서 고객사에 파견 나가 악성코드 대응 업무를 4년 정도 했습니다.
    • 이때 개발자가 되고 싶어서 C++ 코리아 스터디에 몇 번 참석했는데 여기서 운명의 ‘모나드’라는 단어를 처음 접하고 하스켈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 기업에서 정보보안 담당자 7년 차로 일하고 있습니다.
    • 코딩은 취미로 하거나 혼자만 하는 소소한 업무 자동화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풀타임 개발자와 오픈소스 메인테이너의 삶을 동경하고 있습니다.
  • 주로 Windows에서 Putty로(80x24, Consolas) 리눅스 서버에 붙어서 Vim을 사용합니다. Visual Studio Code를 잠깐 써봤는데 다시 Putty로 돌아왔습니다.
  • 집에서는 몇 년 전 중고로 산 MacBook Air M1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회사에서는 몇 년 전 중고로 산 HHKB를 씁니다.
  • 30대 후반, 기혼, 자녀는 셋(둘째와 셋째는 쌍둥이) 있습니다. 경기도에 살고 있습니다.
17

블루스카이 마스토돈으로 사람들이 분산될적에는 트위터도 하고 블루스카이도 하고 마스토돈도 하는 사람들이 많았었는데.... 이젠 트위터도 하고 블루스카이도 하고 마스토돈도 하고 해커스펍도 하고 으읍읍

8
2

이것은 첫 번째 포스트가 아닙니다.

거짓말입니다. 사실 첫 번째 포스트입니다. 마크다운을 지원하네요.

포스트 언어 설정이 되네요.

설정에 AI 요약 설정이 있던데 그 관련일지, 단순히 같은 언어를 쓰는 사람들끼리 서로 노출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인지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 쓰다 보면 알게 되겠죠.

평소 프로필 설정을 잘 안 하는 편인데

  • 여기선 인원이 많지 않아 서로 알아봐야 할 필요성이 더 높아서
  • 웬만하면 해두는 게 좋겠군요.
  • 뭐라고 쓸지 고민해봐야겠군요. 쓸 말이 많지야 않겠지만...

의외로 수식까지 지원하네요.

eiπ=1e^{i\pi} = -1

iddtψ=Hψi\hbar \frac{d}{dt} \left\vert \psi \right\rangle = H \left\vert \psi \right\rangle

5
2
3

해커스펍이랑 솔브드도 연동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단 생각을 해봤어요!
트위터 연동처럼 문제 풀면 바로 글 올라가게 하거나, 아니면 스트릭 초기화되는 시간에 오늘 푼 문제 총합해서 글 올리는 방식으로요

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