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려서 WWDC25 안 보고 그냥 잤는데, 그냥 UI 디자인 바뀐 게 다인가…?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576 following · 381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hongminhee@hackers.pub洪 民憙 (Hong Minhee) 어쩐일인지 요 글이 해커스펍에 전달이 안 된 걸로 보이는데 마스토돈 조회처럼 수동으로 불러올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RE: https://sekai.social/notes/a8ske3w371qv0145
@saschanazKAGAMI🏳️🌈🏳️⚧️ 네, 검색창에 검색하면 되는데… 근데 이 글도 저한테 바로 전달이 안 됐어요. Hackers' Pub 쪽 문제 같은데 좀 살펴보겠습니다.
@julian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lobsters It is a machine translation from Korean, the original might have been written by a human. But the structure is the same, yeah.
@julian
@silverpill You're absolutely right, and I apologize. I used AI assistance to write this article, heavily drawing from your excellent original post. The structure and key ideas are indeed very similar because your analysis was so comprehensive and well-organized.
I should have been more transparent from the start and given you proper attribution. I was trying to create a Korean translation/interpretation for the Korean developer community, adding some additional analysis, but I clearly should have credited you as the primary source more prominently.
I'll add a proper attribution section at the beginning of the article acknowledging that this work is based on your original analysis and discussion thread. Thank you for raising this—it's an important point about giving credit where it's due.
매일 나오는 논문 중 한 편 정도를 골라서, 팟캐스트 형식으로 들을 수 있도록 버튜버 탈을 쓰고(....) 읽어주는 Read Papers With Me (일명 RPWM) 컨텐츠를 기획했었는데요, 이는 TTS를 쓰면 자동화가 가능하지만 저도 어차피 읽어야하니까 직접 읽는 영상을 찍어서 올리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해보니까, 일종의 촬영을 한다는 환경 속에 있다보니 논문 내용에 집중이 하나도 안되더라구요. 혹시라도 저와 비슷한 생각을 가지신 분이 계신다면 참고하세요.. 반면 요약기를 돌리고 TTS로 팟캐스트 만들어서 듣는건... 이건 정말 묘하게 왠지 귀에 잘 안꽂힙니다. https://youtu.be/QbHcs4AWm3k?si=Zxq02BQMBfrhX6QS
Two Approaches to Solving the “Quiet Fediverse” Problem: Conversation Backfilling Mechanisms https://lobste.rs/s/akvlo8 #distributed #web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quiet-fediverse-two-approaches/en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님이 쓰신 글인데, 어째 다른 글에서처럼 페디버스 계정 태그가 안되네
@kodingwarriorJaeyeol Lee 저거 제가 Lobsters 계정에 Mastodon 계정 연동을 안 해서 그래요. 저는 Mastodon을 안 써서 연동이 안 되더라고요…
@anniemon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kodingwarriorJaeyeol Lee 안녕하세요. 초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odingwarriorJaeyeol Lee 님에게 들킨 김에 써보는 #자기소개
- 퍼리입니다. 언젠간 해커스 펍을 털로 뒤덮으려는 아름다운 마음을 품고 있습니다.
- 재작년 부터 web3 쪽으로 전향했고 주로 코어 쪽을 건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블록체인은 잘 모릅니다.
- 언어 만드는걸 좋아하고 관련 프로젝트들에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좋아하는 언어는 러스트와 OCaml인데 안 쓴지 오래되서 조만간 까먹을거 같네요
- 파서나 상태머신, 정적분석을 좋아합니다. - 관련해서 요즘은 개발하고 있는 언어에 린터를 만들고 있습니다
- 활자 중독입니다. 해커스펍은 읽을게 많아 좋네요. 책은 주로 철학이나 건축 쪽을 읽고 있습니다.
- 의외로 백엔드나 프론트엔드를 해본적이 없어서 항상 애매한 포지션에 있는 것 같습니다.
- 밴드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원래 대충 모여서 술마시는 것에 의의를 뒀었는데 올해는 공연 뛸 일이 많아졌네요.
- 20대 중반이고 서울에서 거주 중입니다
여러모로 잘 부탁드립니다. 추가로 깃헙 프로필은 https://github.com/notJoon입니다.
아, 이렇게 된 이상 저도 #자기소개 해야겠어요. WWDC 기다리는 중인데, 자기소개 글이라도 작성하기 딱 좋은 시기긴 하네요
- 일단 저는 해커스펍을 만드는 사람은 아닌데, 명목상으로는 1호 가입자(?)이구요. 해커스펍 서비스 자체가 너무 좋아서 이 사람 저 사람 찔러보면서 "츄라이 츄라이"하는 사람을 담당하고 있어요.
- 한국어권 Vim 사용자 모임 vim.kr, 그리고 한국 연합우주 개발자 모임 디스코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가 일단은 굴러가게는 하는 재능(?)이 있습니다.
- 좋아하는 언어는...... python인데, 밥벌이 시작을 Ruby로 해서 Ruby로 여전히 밥벌이하고 있습니다. 동적 타이핑 언어로 휘리릭 타이핑하고 프로토타입을 즉석에서 보고 가설검증할 수 있는 것에 매력을 느낍니다.
- 함수형 언어.. Elixir, Clojure, Haskell, Elm 등등 관심을 가져왔고 여러차례 찍어먹어보긴 했는데, 현업으로 쓰게 될 일은 없어서 피상적인 지식만 알고 있습니다.
- 주력 분야.... 이젠 모르겠습니다... 짬처리를 전문으로 해와서 그런가... 백엔드도 하고, 프론트도 하고, 모바일 앱도 만들고 잡다하게 해왔는데... 밥벌이를 안정적으로 하려면 프론트엔드를 주력으로 가는게 맞겠다 싶긴 합니다.
- 이미 느끼셨겠지만, 주로 쓰는 에디터는 #Neovim 입니다. Neovim으로 서버개발도 하고, 프론트엔드 개발도 하고, 플러터 앱 개발도 합니다. 이미 Neovim을 열심히 쓰는 사람이기 때문에, 자진해서 Neovim 전도사 역할을 할 때가 많고, Neovim 전도하는걸로 발표도 여러차례 했습니다. 발표자료가 궁금하다구요? 여기를 참고해보시면 될 것 같아요.
- 30대 중반... 미혼.... 서울에서 살고 있구요. 정체성은 아마 시스헤테로남성..?
아무튼.... 잘 부탁드릴게요.....
제가 운영했던 '모 커뮤니티(240)'에서는 릴레이 자기소개 라는걸 하긴 했었는데요(?) 일단 자기소개 했으면 싶은 분들을 지명을 하겠습니다. 지금 이 타임라인을 보고 있을 @joonnotnotJoon
@d01c2Hyunjoon Kim 나와주세요
아, 이렇게 된 이상 저도 #자기소개 해야겠어요. WWDC 기다리는 중인데, 자기소개 글이라도 작성하기 딱 좋은 시기긴 하네요
- 일단 저는 해커스펍을 만드는 사람은 아닌데, 명목상으로는 1호 가입자(?)이구요. 해커스펍 서비스 자체가 너무 좋아서 이 사람 저 사람 찔러보면서 "츄라이 츄라이"하는 사람을 담당하고 있어요.
- 한국어권 Vim 사용자 모임 vim.kr, 그리고 한국 연합우주 개발자 모임 디스코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가 일단은 굴러가게는 하는 재능(?)이 있습니다.
- 좋아하는 언어는...... python인데, 밥벌이 시작을 Ruby로 해서 Ruby로 여전히 밥벌이하고 있습니다. 동적 타이핑 언어로 휘리릭 타이핑하고 프로토타입을 즉석에서 보고 가설검증할 수 있는 것에 매력을 느낍니다.
- 함수형 언어.. Elixir, Clojure, Haskell, Elm 등등 관심을 가져왔고 여러차례 찍어먹어보긴 했는데, 현업으로 쓰게 될 일은 없어서 피상적인 지식만 알고 있습니다.
- 주력 분야.... 이젠 모르겠습니다... 짬처리를 전문으로 해와서 그런가... 백엔드도 하고, 프론트도 하고, 모바일 앱도 만들고 잡다하게 해왔는데... 밥벌이를 안정적으로 하려면 프론트엔드를 주력으로 가는게 맞겠다 싶긴 합니다.
- 이미 느끼셨겠지만, 주로 쓰는 에디터는 #Neovim 입니다. Neovim으로 서버개발도 하고, 프론트엔드 개발도 하고, 플러터 앱 개발도 합니다. 이미 Neovim을 열심히 쓰는 사람이기 때문에, 자진해서 Neovim 전도사 역할을 할 때가 많고, Neovim 전도하는걸로 발표도 여러차례 했습니다. 발표자료가 궁금하다구요? 여기를 참고해보시면 될 것 같아요.
- 30대 중반... 미혼.... 서울에서 살고 있구요. 정체성은 아마 시스헤테로남성..?
아무튼.... 잘 부탁드릴게요.....
새로 오신 분들도 많이 계시니, #자기소개 한 번 해 볼까요? 저부터 해보겠습니다.
- Hackers' Pub을 만들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Hackers' Pub은 저희 집 홈 서버에서 돌아가고 있습니다… 😂)
- 연합우주(fediverse)와 ActivityPub에 관심이 많고, 또 관련된 소프트웨어(
@fedifyFedify: an ActivityPub server framework,
@holloHollo
,
@botkitBotKit by Fedify
, Hackers' Pub…)를 만듭니다.
- 좋아하는 언어는 Haskell인데 자주 쓰는 언어는 TypeScript입니다. 예전에는 Python을 좋아하고 자주 썼습니다.
-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좋아합니다만, 좋아하는 만큼 잘 다루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옛날에는 덕 타이핑 언어를 좋아했는데, 나이가 들고 협업을 많이 하게 되면서 정적 타이핑 언어를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덕 타이핑 언어가 제공하는 특별한 생산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자유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를 좋아합니다. GPL을 좋아하지만, 트랜스젠더 배제적인 행보를 보인 적 있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이나 여러 성추행 전적이 있는 Richard Stallman은 좋아하지 않습니다.
- 소프트웨어 문서화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문서화가 소프트웨어 개발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서화 도구들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 원래는 백엔드 개발자였는데 바로 전 직장이 블록체인 회사여서 백엔드 개발에서 손을 놓은 지 좀 되니까 이제는 잘 모르게 됐습니다. 재활이 필요합니다.
- 현재는 일 안 하고 쉬고 있습니다.
- 30대 후반, 기혼, 자녀는 없습니다. 서울에서 살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잘 부탁드립니다.
해커스펍 초대 100명 기념샷 찍고 가실게요~
@kodingwarriorJaeyeol Lee 오… 대박!
해커스펍 초대 100명 기념샷 찍고 가실게요~
오늘은 Ghost에서 갑자기 또 기능 요청이 들어와서 그거 하다가 하루 다 갔다. 근데 계약은 이미 다 끝났는데 여전히 그쪽 Slack으로 나한테 말을 건다… 답을 해주고는 있지만 그냥 이슈 트래커나 Discord 와서 얘기했으면 좋겠다. (이슈도 내가 만들었음…)
아무튼 PR을 만들긴 했는데, 리뷰해 줄 사람이 없어서 Copilot한테 리뷰 요청했다. ㅋㅋㅋ 나도 리뷰어가 있었으면.
오늘은 Ghost에서 갑자기 또 기능 요청이 들어와서 그거 하다가 하루 다 갔다. 근데 계약은 이미 다 끝났는데 여전히 그쪽 Slack으로 나한테 말을 건다… 답을 해주고는 있지만 그냥 이슈 트래커나 Discord 와서 얘기했으면 좋겠다. (이슈도 내가 만들었음…)
게시글에서 목차가 둥둥 따라다니질 않아요
@theeluwin제이미 버그는 아닌데, 둥둥 떠다니게 구현을 하고 싶었으나 실패한 결과입니다… (프런트엔드 스킬 이슈)
ChatGPT가 지식을 틀리게 변형하여 적용하고 있을 경우, 이를 자기가 눈치채지 못할것 같다면 ChatGPT를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ChatGPT로 연구를 진행한 경험

제이미 @theeluwin@hackers.pub
ChatGPT Plus와 Pro를 6개월간 사용하며 연구에 활용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저자는 이 기간 동안 논문 발표 및 제출에 ChatGPT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ChatGPT의 Deep Research 기능은 논문 검색 시 유용하지만, 최신 고품질 논문 서베이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론적 증명에서는 그럴듯하지만 틀린 결과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델 설명과 실험 분석에서는 ChatGPT의 도움 정도가 미미했지만, 번역 기능은 거의 완벽에 가까운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결론적으로, ChatGPT는 브레인스토밍과 번역에 유용한 도구이지만, 연구의 핵심 방향은 직접 이끌어야 합니다. ChatGPT와 수식 레벨의 구체적인 디스커션은 연구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ChatGPT의 지식에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며, 디스커션에 필요한 모든 지식을 context 안에 담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ChatGPT가 지식을 틀리게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사용을 자제해야 합니다.
Read more →해커스펍 개발 환경 세팅 해봐야겠다
트위터는 트친소고 블루스카이는 블친소니까 해커스펍은 해친소 내지는 햌친소겠군
MLstruct 논문을 읽어야 하는데 너무 귀찮다... Simple-sub 논문은 Scala 코드 줘서 읽고 구현하기 쉬웠단 말야
@evenharder이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kodingwarriorJaeyeol Lee 이전부터 참여하고 싶었는데 기회가 되어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초대 족보 보면서 새로 오신 분들 다 팔로하고 다니는 중…
@ranolp 이슈트래커에 하나 둘 쌓이는소리 ㄷㄷ
Hackers' Pubでは記事だけではなく短文投稿でもMarkdown
が使えるのかな?すごい!
フィードに韓国語がたくさん流れてくるので、韓国語学習も頑張れそう🤸
저는 매일 arXiv에서 사전에 지정한 몇몇 키워드로 검색한 논문들을 LLM으로 요약 한 뒤 이메일로 받아보고 있습니다. 단순한 방식이지만, 그리고 요약이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지만, 적어도 ‘매일 오늘 최신 논문을 확인해야한다’는 사실 자체를 자동화 하는데에 의의를 두고 있습니다. 오픈소스로 공개해두긴 했지만 서버 세팅이 귀찮으신 분들에겐 제가 1년에 1만원으로 구독 서비스를 운영중입니다 (구독 문의는 수동으로...) https://github.com/theeluwin/daily-paper-summary-digest
(뒷북) Bridgy Fed를 만드는 비영리단체 A New Social에서 Bounce라는 새로운 도구를 FediForum에서 발표.
https://blog.anew.social/bounce-a-cross-protocol-migration-tool/
ActivityPub의 내 계정을 팔로워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Bluesky로 옮기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네요. 각자의 프로토콜이 지향하는 바와 해결하는 문제가 다르지만 이렇게 두 세계을 연결해주는 일에 집중하는 단체가 있다는 건 정말 좋은 일이라고 생각해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핫플이 되었네요
@sjSangjun Jung 핫플로 만드는 데에 일조하셨습니다!
오… 갑자기 Hackers' Pub이 북적북적!
헉....... 내가 존경하는 분이... 내 초대링크 타고.. 가입하셨어....??? (영광) (숨멎) (심쿵)
완전 환영이에요.... @theeluwin제이미
왜 ctrl + enter 눌러도 안 올라가지....
@paranbaram파란바람 님,
@acidsound 님, 어서 오세요!
여기서는 VST개발 건덕지 나오면 주저리주저리해야겠다
해커스펍을 PWA로 설치하니까 뒤로가기하면 앱을 이탈해버려서 곤란하다
여기선 프로그래밍 언어론 이야기나 해야겠다
이메일 주소가 깔끔한 사람을 보면 좋은 느낌이 듭니다.
자기 이름을 영어로 혹은 짧고 읽기 쉬운 닉네임으로 만든 이메일들.
가장 인상적이었던 이메일은 r@google.com 이었습니다.
UTF-8과 GO 언어를 만든 롭 파이크.
그가 구글에 들어갈 때 선택한 이메일.
한 글자 이메일 주소라니. 센스 터지는 군.
한편으로 한글 이름을 영어로 rlawogh(김재호) 하거나,
숫자가 들어간 이메일을(rlawogh777) 보면 좋은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깔끔한 이메일을 보면 이 사람은 신중하고 좋은 결정을 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생각은 편견일 수 있다는 걸 알면서도... 이 편견에서 빠져나오기가 힘드네요.😁
そうだ、FEPの翻訳で思い出したけどこれ試したかったんだ
https://tech.preferred.jp/ja/blog/plamo-translate/
hackers.pub 초대링크를 트위터, 페이스북, 스레드에 올렸다! (가지고 있던 초대장수가 바로 줄어들어서 이제 3장 남았다.)
https://hackers.pub/@arkjun/invite/019753df-b9cc-7d70-a89b-8aaf62fe13f9
@shiromadaraしろまだら さん、Hackers' Pubへようこそ!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行動規範の内容に惹かれて登録しました。素敵な場を作ってくれて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行動規範の内容に惹かれて登録しました。素敵な場を作ってくれて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shiromadaraしろまだら どうかこの空間が快適で有益でありますように!🥰
@shiromadaraしろまだら さん、Hackers' Pubへようこそ!
FEPの日本語化をするかRFC実装するかゲームするか
@AmaseCocoaここあにゃん
RFCの実装はバイブコーディングで行い、FEPの翻訳はLLMに任せて、AIが作業している間はゲームをしてください。
“조용한 연합우주” 문제를 해결하는 두 가지 접근법: 대화 백필링 메커니즘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이 글은 연합우주(fediverse)에서 발생하는 "조용한 연합우주" 문제, 즉 대화의 일부만 보이는 현상의 원인과 해결책을 탐구합니다. ActivityPub 프로토콜의 분산 특성으로 인해 대화가 여러 서버에 분산되어 저장되면서 발생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답글 트리 크롤링과 컨텍스트 소유자 기반 방식이라는 두 가지 주요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답글 트리 크롤링은 모든 답글을 순차적으로 가져오는 방식이지만 네트워크 취약성과 작업량 증가의 단점이 있고, 컨텍스트 소유자 방식은 대화의 원 작성자가 대화 내용을 관리하는 중앙화된 접근법이지만 컨텍스트 소유자에 대한 의존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모더레이션 패러다임의 충돌과 상위 전파 누락 문제와 같은 논쟁점을 지적하며, 주기적 크롤링, 사용자 트리거, 멘션 기반 백필과 같은 추가적인 백필 메커니즘을 소개합니다. 마지막으로, FEP 수렴 논의와 구현체 간 협력 현황을 통해 향후 개발 방향으로 하이브리드 접근법의 표준화를 제시하며, 다중 전략 구현, 리소스 관리, 모니터링 및 로깅의 모범 사례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이 글은 연합우주가 더욱 풍부하고 연결된 소셜 네트워크로 발전하기 위한 노력과 사용자 경험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Read more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그래도 설정 파일 스키마가 바뀌었을 때 자동 업그레이드 지원하는 기능이 있어서, 당장 대충 만들어둬도 크게 문제는 없을 것 같긴 하더라구요 😂
@xiniha 그거 믿고 대충 만든 걸까요…? 😂
Claude의 모델들은 다 좋은데 컨텍스트 윈도가 짧은 게 항상 너무 아쉽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잘만든 설정 파일 형식의 예시로 어떤게 있을까요? 저는 애초에 큰 기대가 없어서 VS Code 설정도 덜컹덜컹 돌아가는 상태로 살고 있거든요.
@bglbgl gwyng 저도 딱히 뚜렷한 견해가 있는 건 아닌데, Zed 설정 파일은 뭔가 뜻대로 잘 안 되네요…
Zed 설정 파일 형식은 VS Code보다 구조화도 덜 되어있고 쓰기에도 불편한 것 같다. 주먹구구식으로 만든 느낌…
평소에 함수형 언어 매니아들이 주장하는만큼 이펙트를 엄격하게 구분하는게 중요하다곤 생각안했는데, local first 앱을 만들다가 네트워크 요청을 포함한 IO와 그렇지 않은 IO를 구분해야하는 이유를 찾았다. 앱의 초기화 로직에 네트워크 요청이 숨어있으면 API 서버 장애시 앱이 아예 안켜지는 문제가 있다. 방금 이거랑 관련된 버그 찾느라 시간을 많이 썼다.
좀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앱 실행시에 API 서버에 네트워크 요청을 보내는건 괜찮다. 하지만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도록 하면 안된다. API 서버에 장애가 났을때도 앱이 켜지긴 해야하니까 말이다. 그럼 이때, 요청을 보내는 것과 응답을 기다리는걸 구분을 해야하는데, 이건 평범하게 이펙트를 분리하는걸론 달성 못할것이다. 우리가 effectful하다고 하는 것도 결국 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함수는 인자를 주는것과 결과를 받는것이 결합되어 있다. 이 둘을 송신과 수신으로 분리해놓은 세션 타입을 사용해야 내가 원하는 바를 정확히 기술할수 있을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