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기다
악하
@akastoot@hackers.pub · 133 following · 101 followers
설계 능력 없고 코딩 AI보다 못하고 뭔가 이상한 걸 만들고 있고 (#레퍼럴프로젝트, http://referral.akaiaoon.dev) 매일 커피나 마시는 이제 직장이 없는 SE
GitHub
- @IAOON
Referral Project
- referral.akaiaoon.dev
3년 전 파이콘 갔던 사진이 구글 포토에 추억 여행하라고 떴는데 ㄹㅇ 그때 파이콘은 엄청 부자였구나
그땐 그냥 파이콘에서 점심을 줬음ㅋㅋㅋ
AP vs ATproto 논쟁 끝내는 법
둘을 합친 또다른 오픈 쏘쌸 프로토콜을 만든다
이제 AP vs AT vs 또다른 프로토콜 논쟁이 됨\
“주문과 동시에 조리를 시작합니다“라는 문구를 보고.
어떻게 조리시작 시점과 주문 완료 시점 사이에 정시성을 보장할 수 있을까. 조리시작 시점의 동시성을 보장하려면 주문을 예측해야만 한다.
i wrote about atproto and why it matters
Open Social — overreacted
AI 엔지니어링 - 파운데이션 모델을 활용한 시스템 설계부터 개선까지, AI 앱 개발 원스톱 가이드 (칩 후옌 (지은이), 변성윤 (옮긴이) / 한빛미디어 / 2025-09-30 / 40,000원) https://feed.kodingwarrior.dev/r/TJZd5Y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3097975&partner=openAPI&start=api
요게 실제 털색이랑 좀 비슷한가. 🤔
혁신적인 KRW 채굴법
1. 인스턴스를 연다
2. 사람을 모은다
3. 기부를 받는다
역시 최고의 장애대응은 롤백이다. (한달간의 내 코드 돌려내)
FastAPI 창시자와 한 컷.... 가슴이 웅장해짐....
데이터 분석가를 위한 데이터 엔지니어링 기초 다지기 with Python - 2025년 초판 (Evan (지은이) / 부크크(bookk) / 2025-09-02 / 37,300원) https://feed.kodingwarrior.dev/r/GGS0a8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3019408&partner=openAPI&start=api
인터넷 상에서 어떠한 담론에 대한 논의가 여럿 오갈때 전체적으로 천천히 살펴보면, 해당 담론에 대한 찬반 여부와 별개로 토론을 하고싶은 사람이 있고 시비 털고 조롱하고 키배뜨고싶은사람이 있는데 후자가 너무 많이 보인다 심지어 블루스카이에도 물론 블루스카이는 절대적인 이용자 수가 적어서 블루스카이-트위터 담 너머를 향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서로 키배가 터지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긴 한데 좀 좀 그렇다 다들 뇌에 힘좀 주고 삽시다..(일단 나부터)
2026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Python - 최신 기출문제 수록 + 동영상 강의 무료 제공 (이삭, 김상돈 (지은이) / 영진.com(영진닷컴) / 2025-10-17 / 32,000원) https://feed.kodingwarrior.dev/r/wbiuSD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3004416&partner=openAPI&start=api
블루스카이를 연합우주보다 먼저 썼고, 해커뉴스에서 관련 주장에 대해서 꽤 싸우기도 한 입장에서 민희님의 글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일 수 있지만, 연합우주의 대안은 아닙니다〉에 대한 반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의견이 연합우주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이 아니라는 것을 의견을 제시하기에 앞서 확실히 해 둔다(그랬다면 Hackers' Pub에 들어 올 일이 없었겠지).
탈중앙화는 매력적인 개념임이 틀림 없다. 인터넷의 많은 중요한 요소들이 어느 정도 탈중앙화되어 있으므로 탈중앙화가 인터넷의 장점들에 큰 몫을 했다는 생각을 쉬이 할 수 있고, 어느 정도는 그게 사실이기도 하니까.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탈중앙화는 기술적인 특징이지 그 자체로 장점이 아니며, 탈중앙화가 장점으로 작용하려면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이를테면 비트코인을 위시한 암호화폐는 본디 비잔틴 실패까지 대비할 수 있는 강력한 탈중앙화를 장점으로 내세웠으나, 결국 화폐로서 제대로 사용되기 시작하자 현실 경제와의 커플링 때문에 그 "장점"이 크게 희석되고 말았다. 현 시점에서 암호화폐는 무에서 유의 신뢰를 창조하여 신용화폐의 요건을 충족하는 데까지는 성공했고 그것만으로도 역사적인 일이기는 하지만, 그게 탈중앙화랑 무슨 상관이 있느냐 하면 글쎄올시다.
블루스카이가 연합우주보다 덜 탈중앙화되어 있음은 분명하다. 민희님의 글에서 지적되었듯, 블루스카이가 이런 선택을 한 가장 큰 이유는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 기능을 위해 전역 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말하면 연합우주는 더 탈중앙화를 하기 위하여 전역 뷰를 포기했는데, 이 때문에 연합우주에서의 "소셜 네트워크"는 트위터/X와는 구조가 크게 다르다. 노드 규모가 문턱값에 다다르지 못하면 다른 노드에 있는 사용자를 찾아서 팔로해야만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데, 연합우주 안에서는 이런 외부 사용자를 찾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물론 인터넷과 똑같이 검색 엔진이 존재할 수야 있겠지만, 크롤링으로 인한 부하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의견 차이 때문에 현실적으로 작동하는 연합우주 내 검색 엔진은 없다고 알고 있다. 따라서 연합우주에서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은 연합우주 바깥의, 보통은 중앙화되어 있는, 다른 소셜 네트워크(이를테면 현실 인간 관계)를 빌어야만 하는데, 이러면 탈중앙화가 큰 가치가 있을까?
한편으로는 전역 뷰가 소셜 네트워크의 단점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트위터/X를 오래 써 본 사람이라면 다 알겠지만 한 무리의 사람들이 다른 의견을 가진 무리와 충돌하는 주된 통로는 검색이나 해시태그를 통한 노출, 즉 전역 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의 규모 있는 연합우주 노드들을 살펴 보면 각 노드가 곧 한 무리에 대응하는 식으로 충돌을 미리 회피하는 형태로 구성되지, 딱히 이런 충돌을 막기 위한 접근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드 운영자를 위해 차단하는 걸 추천하는 서버 목록 같은 게 돌아다니는 건 연합우주 바깥의 일이지 않는가. 결국 전역 뷰의 역할을 대체하는 소셜 네트워크 바깥의 또 다른 소셜 네트워크가 존재할 것이기에, 우리가 소셜 네트워크를 어떤 이유로든 유용하다고 여긴다면 전역 뷰가 없는 게 장점이 될 수는 없다.
모든 이들이 이런 사고 과정을 가지고 블루스카이나 연합우주를 선택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적어도 현 시점에서 사용자들은 블루스카이(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약 3360만명)를 연합우주(FediDB와 Fediverse.party로부터 추정할 때 최대 1530만명)보다 선호하는 것은 틀림이 없다. 게다가 블루스카이의 규모는 최근 1년 사이에 10배 불어난 것이고, 조금 장애가 있었지만 현재는 잘 동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위의 논의와 결합해 보면, 블루스카이는 정석적인 스케일링에 성공하고 있는 반면 연합우주는 스케일링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온전한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을 포기했다고 볼 수도 있는 대목이다. 블루스카이가 못미더운 부분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연합우주가 더 좋은 소셜 네트워크 경험을 제공한다고 가정하고 블루스카이의 단점을 제시할 수는 없다. 마치 암호화폐를 논할 때 장점만 말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RE: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bluesky-a-good-alternative-to-x-not-to-the-fediverse
TODO
- 변규홍@따뜻.한국 메일주소 셋팅
(몇 년째 지워지지 않는 투두리스트...)
도메인 검색하면서 .uk 도메인 가격 볼 때마다 욱으로 끝나는 이름 가진 사람들은 자기 이름 달린 도메인 싸게 사겠지 싶어서 묘하게 부러움
디노 붐은 온다
프로젝트 홍보: No programming language https://github.com/hoxy/no-lang
안녕하세요...
코로나 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
악하 shared the below article:
2025 Q2/Q3 Review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이 글은 2025년 2분기 결산을 미루고 3분기에 몰아 작성한 개발자의 회고록입니다. 4월부터 9월까지 2~4주 단위로 굵직한 이벤트들이 연이어 발생하며 '업보 청산'의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임금 미지급, 파이콘 발표 준비, Fedify 프로젝트 참여, UbuCon Korea 발표, PyCon KR 참여, Hackers' Public 주최, PyCon JP 참여 등 다사다난했던 3분기를 요약하고 있습니다. 특히 Fedify 프로젝트에 기여하며 NestJS 기반의 연합우주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하고, Hackers' Public 밋업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을 강조합니다. 현재는 수입이 거의 없는 상태이지만, 취업 준비와 외주를 병행하며 바쁘게 지내고 있습니다. Node.js 백엔드 엔지니어 또는 풀스택 엔지니어로서의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술 면접 준비와 함께 OS 및 네트워크 관련 지식을 쌓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4분기에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크리스마스 이전에 취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rangho.is 사고싶다
그러면
- 블로그는 rangho.is/thinking에
- 메모장은 rangho.is/knowing에
- 발표자료는 rangho.is/talking에 다 집어넣을 수 있을텐데
오픈 인프라는 공짜가 아니다: 지속 가능한 관리에 대한 공동 성명서
------------------------------
## 오픈 인프라는 공짜가 아니다: 지속 가능한 관리에 대한 공동 성명서 요약
최근 OpenSSF(오픈 소스 보안 재단)를 비롯한 여러 주요 오픈소스 재단 및 패키지 저장소 관리 기관들이 *"오픈 인프라는 공짜가 아니다(Open Infrastructure is Not Free)"* 라는 제목의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성명서의 핵…
------------------------------
https://news.hada.io/topic?id=23245&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페디버스 인스턴스 하나쯤 만들고 싶다
그치만 너무 귀찮다
그치만 커스텀 이모지도 넣고 하고 싶다
그치만
그치만
의 무한 반복 중임 요즘
음식 사진을 업로드하면 AI가 한국어 트윗을 자동 생성해주는 사이드 프로젝트에요 https://tweet-gen-ai.vercel.app/
결과는 이런식으로 나와요 https://tweet-gen-ai.vercel.app/shared/v3SGg2NhcGXhblRIDDjNr
Replit 구독 해제했더니 서비스를 내려버려서-_-... vercel로 재배포했어요
vercel용으로 리팩토링 해야하니 Cursor > ChatGPT > Claude Max 순으로 써봤는데 결국 클로드가 해냈네요.
벌려둔 일이 너무 많아서 뭐부터 해야 할 지 정하질 못한 채 우왕좌왕하는 일이 많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우왕좌왕의 결과물의 fedify, logtape, upyo, optique인거군요. 앞으로도 쭉 우왕좌왕하시면 될듯 합니다.
토큰-링 네트워크에서 영감을 얻어 노드들이 서로 토큰을 돌려가며 서로 헬스체크하는 일종의 탈중앙화(?) 헬스체크 서비스를 대충 만들어보았다. 토큰 네트워크를 토큰이 돌며 노드들이 서로의 주소를 사인하고, 만약 다음 노드가 없거나 연락 불가하다면 이슈어에게 다시 돌려주는 방식의 단순한 토큰링 네크워크인데, 잘 작동해서 기분이 좋다.
개발 문화가 죽어가고 있다: 호기심 많은 개발자는 사라졌다
------------------------------
- 과거에는 *호기심과 탐구심* 이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도구들을 만들어냈지만, 오늘날 개발 문화는 점차 *지표와 수익 중심* 으로 이동하고 있음
- 예전의 개발자들은 단순한 호기심으로 쓸모없을 수도 있는 프로젝트를 만들며 *순수한 학습과 실험* 에 몰두했음
- 현재는 개발자들이 *최신 프레임워크와 수치 …
------------------------------
https://news.hada.io/topic?id=23222&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AI 이전에는 당신에게 취향(Taste)이 없었다
------------------------------
- 최근 많은 사람들이 AI를 잘 쓰려면 *취향(taste)* 을 길러야 한다고 말하지만, 정작 그 자신들은 *과거에 뚜렷한 취향을 보여주지 못한 경우* 가 많음
- 취향은 *미적 품질에 대한 비판적 판단, 식별, 감상* 을 의미하며, AI 맥락에서는 *맥락 적합성, 품질 인식, 반복 개선, 윤리적 경계 인식* 등의 요소로 구…
------------------------------
https://news.hada.io/topic?id=23223&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회사에서 MLOps 를 구축해야 하는데 구축해본 적 있는 분이 있다면 커피챗을 좀 해보고 싶다...
Pheonix 트레이싱 도구를 이제서야 도입했고, Airflow 같은 것들도 제대로 써보고 싶은데 파이프라인을 제대로 구성해본 적이 없어서 생각은 하는데 아직 정확히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FEConf 접근성 발표 자료를 퇴고하면서 아쉽게 삭제한 몇 내용을 하나로 재구성하여 A11YKR 블로그에 게시했습니다.
여러분 int *p를 (int *)(uintptr_t)p 캐스팅하지 마세요 출처라는 것이 바뀝니다
지원할만한 회사 정리하는 타래
[리디] 풀스택 엔지니어
- https://ridi.career.greetinghr.com/ko/o/106674
오늘 Fedify 모임에서 페디버스 인스턴스 만들어주는 서비스에 대해 나왔었는데 역시 한 번 구현은 해보고 싶다
안녕하세요 랭호입니다
여기는 대피소 겸 나중에 긴 글 덤핑하는 용도로 써야겟다 히히
공개계는 블스, 사담계는 개인서버, 대피소는 여기 이렇게 해서 쓰리배럭 굴릴까 하는데요 제 서버가 DB 쿼리 문제때문에 좀 아파서 여기 자주 올지도 몰?라요 ㅋㅋ................
나중에 블로그 만들면 자랑하러 올게요
인간관계에 있어 일을 주든, 투자를 해주든, 내가 영업하는 제품을 구매해주든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이익을 가져다주지 못하는 관계인 경우 아예 연락이 끊기는 정도의 수순을 밟게 되는 것이 일반적임.
오픈소스 활동의 좋은 점은 저런 명확한 이익관계가 없더라도 한번 서로 인지된 사람이면은 가늘더라도 꽤 오랫동안 서로 연락하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임.
개발자도 우울증 많다고 얘기는 많이 들었다.
이런 점에 비춰봤을 때 오픈소스는 개발자의 우울감과 소외감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악하 shared the below article:
'블루스카이즘', 정치 폭력, 그리고 권위주의 하의 개방 소셜 네트워크
잇창명 EatChangmyeong💕🐱 @eatch@hackers.pub
이 글은 개방형 소셜 네트워크인 블루스카이가 미국 정치 지형 변화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합니다. 중도 논객들의 비판과 가짜 뉴스 확산으로 '좌편향' 플랫폼이라는 낙인이 찍히고, 정부의 검열 압박까지 받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특히 찰리 커크 피살 사건을 계기로 블루스카이에 대한 정치적 공격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앱 스토어 퇴출과 같은 실질적인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지적합니다. 저자는 블루스카이가 빅테크의 엔시티피케이션(enshittification)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동안, 권위주의 정부의 탄압이라는 새로운 위협에 직면했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단순한 플랫폼 이동의 자유를 넘어, 정치적 탄압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회복탄력성 있는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 글은 기술적 자유와 정치적 억압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조명하며, 미래 소셜 네트워크의 방향성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Read more →"두통과 함께하는 사람들"은 다음 주(22일 ~ 28일) 편두통 인식 개선 주간을 맞이해서 광화문에서 커피차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주변에 많은 공유와 참여 부탁드려요.
- 📆 언제? 2025년 9월 22일 (월요일) 오전 10시 ~ 오후 2시
- 📍 어디서? 광화문 한국프레스센터 광장 [네이버 지도]
- 📋 무엇을 하나요? 편두통 질환과 캠페인을 소개하며 다양한 기념품(안대와 귀마개 등)과 음료를 드립니다! 🎁🥤
- ✅ 왜 하나요? 국제적으로 진행하는 캠페인의 일환으로 편두통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편두통을 알리는걸 목표로 합니다.
오랫동안 열심히 준비하던 것 중 하나입니다. 부스 놀러와주시면 기쁠 것 같아요.
악하 shared the below article:
현재 중요 스케쥴.
MTG @analoggreen@hackers.pub
오늘 하루는 잠시 눈을 붙였다가 네트워크관리사 실기 시험을 치르는 중요한 날입니다. 시험 준비를 위해 갤북에 요약 정리를 챙겨 시험장에 다녀온 후, 점심을 겸한 산책으로 머리를 식히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내일 마감인 업무를 마무리해야 합니다. AWS 보안 및 게이트웨이 관련 지식을 재정비하는 것은 좋지만, 네트워크관리사 응시료가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Read more →이제 자신이 보여주고 싶지 않은 추천사를 가리는 기능도 추가되었습니다. 메인 페이지에서 링크 타고가시면 사용 가능해요.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https://referral.akaiaoon.dev/ 이 링크에서 사용 가능하고, 내가 받은 추천사는 https://referral.akaiaoon.dev/u/:username 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말코링님의 추천사 리스트를 참조해 주세요.
쉽게 제 호감도 올리시는 법: "해커즈 퍼브"
쉽게 제 호감도 조금 내리시는 법: "해커스 펍"
쉽게 제 호감도 많이 내리시는 법: "해커스펍"
</sarcasm>하나의 유령이 해커스펍을 배회하고 있다. 아재개그라는 유령이
악하 shared the below article:
내가 LLM과 함께 코딩하는 방식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이 글은 저자가 LLM(Large Language Model)을 활용하여 코딩하는 방법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과 팁을 공유합니다. LLM 코딩 에이전트 사용 시 맥락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Claude Code 모델을 선호하는 이유와 그 장단점을 설명합니다. 세부적인 지시를 위해 GitHub 이슈를 활용하고, 설계는 사람이, 구현은 LLM이 담당하는 역할 분담을 제안합니다. 또한, 프로젝트 지침을 담은 *AGENTS\.md* 파일의 중요성과 Context7을 활용한 문서 제공 방법을 소개합니다. 계획 모드를 통해 LLM이 스스로 피드백 루프를 돌도록 유도하고, 필요한 경우 손 코딩을 병행하여 코딩의 재미를 유지하는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 글은 LLM을 단순한 도구가 아닌 협력적인 동료로 활용하여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는 개발자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헐, 무료로 접근가능한 네트워크 교재
혁신적인 프레임워크(Solid)로 도전하는 혁신적인 서비스 해커스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