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l gwyng

@bgl@hackers.pub · 87 following · 107 followers

슈티를 함께 만들 팀을 만들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 또는 잘 모르겠지만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은 분도 bgl@gwyng.com으로 편하게 연락주세요.

GitHub
@bglgwyng
shootee
www.shootee.io

거의 느낌이 더 좋다는 이유만으로 rootless컨테이너를 시도했고, 이후에는 갈아엎기 귀찮다는 이유로 계속 써왔다. uid를 외부랑 일치 시키면 이미지가 권한 관련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고, 자동으로 이미지내 파일 소유를 바꿔주는 기능은 첫 실행 시 너무 느리기나 하고... 자동 재시작은 systemd랑 엮어서 쓸 수 있다고 알고 있기는 한데 어쨌든 별도의 시스템이라 아직도 안쓰고 있다. 아마 별 일 없으면 계속 이렇게 쓰겠지...?

2

SteamOS 의 일종인 Bazzite 설치.

  1. 내가 하는 대부분의 게임이 잘 된다.
  2. 리눅스 데스크탑이 윈도보다 반응성 빠르고 편의성도 좋다.
  3. 안 되는 게임 https://www.protondb.com/app/2507950 안 되는 것들은 멀티 게임들. 안티 치트 등, 드라이버를 통해 치팅 검사하는 프로그램이 들어가는 것들이 안되는 모양.

애초에 윈도 아닌 게임이 의외로 많이 나오고 있고(Crusader Kings 3, Factorio) 직장이 아니면 집에서 윈도 안 쓴지도 몇 년 되었고, Debian, Arch Linux, OS X 만 쓰고 있다.

bazzite 는 Fedora CoreOS 기반인 모양인데 알게 된지 며칠 안 되어서 패키지 관리가 어떻게 되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neovim 설치는 일단 brew 로 하면 되는 모양인데, 다른 소프트웨어들은 flatpak 으로 설치하고 있고...

6
5

bgl gwyng shared the below article:

Upyo 0.2.0 Release Notes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Upyo 0.2.0 has been released, introducing new features to this cross-runtime email library that supports Node.js, Deno, Bun, and edge functions. The latest version expands its capabilities with Amazon SES transport support, enabling AWS Signature v4 authentication and session-based authentication. Additionally, comprehensive OpenTelemetry integration has been added, offering distributed tracing, metrics collection, and error classification without altering existing code. The OpenTelemetry transport automatically instruments email operations, tracking delivery rates and latency, and integrates with existing OpenTelemetry infrastructure. Community feedback is encouraged to further improve Upyo, whether through testing the new Amazon SES transport, implementing OpenTelemetry, or contributing to the GitHub repository. This release enhances Upyo's utility by providing more transport options and robust observability features, making it a valuable tool for developers needing reliable email sending across various environments.

Read more →
4

제가 꾸준히 개발하고 운영하는 서비스들을 소개합니다.

  • 나루: 한국의 Geocities/Neocities를 지향하는 개인 웹사이트 호스팅 플랫폼
  • 오이카페: 2000년대 인터넷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오에카키 커뮤니티
  • 타이포 블루: 메일링 리스트 기능을 지원하는 텍스트 전용 블로깅 플랫폼

모두 공익을 위한 비영리 프로젝트이며, AGPLv3 하에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14
0
0
7

bgl gwyng shared the below article:

퍼즐: 1번 칸에 말 올려! 2번 칸에서 말 내려!

Bubbler @bubbler@hackers.pub

이 글은 1부터 20까지 번호가 매겨진 게임판에서 특정 규칙에 따라 말을 움직여 모든 칸에 말을 채우는 퍼즐 문제를 소개합니다. 핵심은 $k$번 칸에 말을 올리기 위해 필요한 최소 동작 횟수가 $2^{k-1}$임을 밝히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20번 칸까지 말을 채우는 데 필요한 총 동작 횟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퍼즐은 BOJ 29225 문제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으며, 문제 해결 과정에서 발견되는 패턴과 논리적 추론이 흥미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3

Ji-Haeng Huh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하스켈 편지

박준규 @curry@hackers.pub

이메일 교환을 요약하면, 한국의 취미 프로그래머 박준규 님이 Haskell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며 NRAO의 다니엘 님에게 연락을 시작합니다. 다니엘 님은 Haskell 경험과 NRAO에서의 Haskell 프로젝트(antioch)를 공유하며, 박준규 님의 Haskell 학습 경험과 프로젝트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박준규 님은 자신이 관리하는 Hackage 패키지와 Protohackers 문제 풀이 경험을 공유하고, 다니엘 님은 이에 대한 격려와 함께 Typeclassopedia와 free monad를 추천합니다. 이 대화는 Haskell에 대한 열정과 지식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영감을 주는 긍정적인 교류를 보여줍니다. 다니엘 님은 박준규 님에게 Haskell 관련 질문을 언제든지 환영하며, 이 대화를 자유롭게 공유해도 좋다고 허락합니다.

Read more →
20

@curry박준규 정말 귀한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 역시 사람들에게 마지막 답장에 언급된 typeclassopedia를 가장 많이 추천합니다. 많은 분들이 하스켈 입문 후 당장의 코딩 경험을 쌓기보다 "모나드는 부리또다"로 대표되는 하스켈 튜토리얼류에 집착적으로 빠져들며 학습의 발란스를 깨는 경향이 보입니다. 무엇에 기인하는 현상인지 아직 확실히 파악은 못했지만 분명 안타까운 상황인 거 같아요.

물론 typeclassopedia도 튜토리얼 문서의 일종이지만 저자만의 특수한 깨달음 포인트가 아닌 정공법으로 설명해주다 보니, "저자의 창의적인 비유와 설명" -> "이제야 알 것 같은 독자" -> "그렇게 생긴 깨달음이 실제 코딩에 도움이 안됨" -> "새로운 문서를 찾아 헤맴" 의 끝없는 반복을 부숴줄 힘이 있는 것 같습니다.

4
5
10
3

Show GN: Upyo: 현대적인 JavaScript/TypeScript용 크로스 런타임 이메일 전송 라이브러리
------------------------------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이메일 발송 라이브러리를 만들어서 공유해봅니다.

## 왜 만들게 되었나요?

최근에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Node.js, Deno, Bun 등 다양한 런타임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메일 발송 부분에서 매번 다른 라이브러리를 찾거나 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특히 D…
------------------------------
https://news.hada.io/topic?id=21971&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2
3

bgl gwyng shared the below article:

AI도 무조건 틀리는 Javascript 퀴즈

중고 자몽차(따뜻함) @dvbeetle@hackers.pub

이 JavaScript 퀴즈는 `age` 객체와 `preferences` 객체를 사용하여 각 이름에 대한 나이를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forEach` 메서드를 통해 배열의 각 요소(이름)를 `printAge` 함수에 전달하고, 이 함수는 템플릿 리터럴을 사용하여 "name is age" 형태의 문자열을 콘솔에 출력합니다. Claude Opus, GPT 4.5, Gemini 2.5 Pro와 같은 고급 AI 모델들도 이 문제에서 오답을 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이 코드를 통해 JavaScript의 객체 접근과 배열 메서드 사용법을 다시 한번 상기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
3

.NET으로 서버 만들 때는 이메일 보낼 때 FluentEmail이라는 패키지를 유용하게 썼는데, JavaScript 쪽에도 비슷한 게 있나 찾아봤지만 뭔가 다 조금씩 마음에 안 드네… 내가 원하는 건 다음과 같다:

오히려 파일 첨부 같은 부가 기능은 없어도 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못 찾고 있다. 음… 바이브 코딩으로 하나 만들까?

6
2

js 커뮤니티는 환경변수 주입 정도는 컴파일타임 의존성 주입처럼 생각하긴 하는듯. 과거에 subpath import, export 없을 때 많이 쓰이던 방식이 고착화된게 아닌가 하는 뇌피셜이 있음..

4

이와 비슷하게 청개구리 스택 경로라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예를 들어 Deno를 선택했으면 Fresh는 청개구리 스택 경로가 아니다. 그런데 Deno를 선택한 다음 Next.js를 선택하면 오히려 청개구리 스택 경로가 된다.

7
9

bgl gwyng shared the below article:

펑터Functor

lionhairdino @lionhairdino@hackers.pub

하스켈 펑터 입문자를 위한 이 글은 `Maybe Int` 타입의 값에서 `Int`를 직접 "꺼내올 수 없다"는 개념을 설명합니다. `Maybe`의 `fmap`이나 `fromJust`가 마치 값을 꺼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실제로는 값을 꺼내는 것이 아니라, 원본 타입(`Int`)의 구조를 보존하며 새로운 `Maybe Int` 타입의 값을 "생성"하는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미끄럼틀 비유를 통해, `Maybe Int`의 `Just 1`은 `Int` 값 `1`과 연관되어 있지만, `Just 1` 자체가 `1`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펑터는 원본 타입의 관계(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며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fmap`은 `Maybe Int` 안의 `Int`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원본 `Int` 값의 관계를 바탕으로 새로운 `Maybe Int` 값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상자 메타포가 유용할 때도 있지만, 펑터의 본질을 오해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상자 안의 값을 꺼내는 것이 아니라, 값의 "성격"은 값을 다루는 함수들의 동작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글은 "없을 수도 있는 수를 꺼낸다"는 표현의 모순을 지적하며, 펑터의 개념을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Read more →
6

bgl gwyng shared the below article:

힙스택 보존 법칙

RanolP @ranolp@hackers.pub

이 글에서는 프로젝트 진행 시 기술 스택 선정에 대한 경험적 법칙인 "힙스택 보존 법칙"을 소개하며, 힙한 기술 스택을 과도하게 선택할 경우 프로젝트가 산으로 갈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저자는 신기술 도입 시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와 그로 인한 추가 작업의 부담을 설명하며, 커뮤니티가 크고 성숙한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힙한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두 가지 조건, 즉 기술의 안정성과 개발자의 숙련도를 제시하며, 힙스택을 사용하기 전에 충분한 학습과 경험을 통해 기술적 내성을 길러야 함을 역설합니다. 이 글은 기술 스택 선택의 중요성과 개발자의 역량 강화 필요성을 동시에 강조하며, 균형 잡힌 기술 스택 선택이 프로젝트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시사합니다.

Read more →
13
1
1

Node.js 커뮤니티는 환경 변수를 너무 좋아하는 것 같다. 거의 라이브러리 API의 일부로 생각하는 듯?

Deno만 해도 환경 변수는 --allow-env 플래그를 통해 명시적으로 허용하지 않으면 접근 못하고, Haskell에서도 getEnvString이 아니라 IO String을 반환하게 되어 있다.

반면 Node.js에서는 process.env로 너무 쉽게 접근 가능해서 그런가, 환경 변수 접근이 입출력이라는 생각을 아예 안 하는 모양이다.

8
5

아마 다들 비슷한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쌍방향 연결에 성공해서 두 클라이언트가 대화할 수 있게 했을때의 기쁨... 저는 딱 15년만에 하는거라(...) 처음 해본것처럼 기쁘네요

8
4

JS Error 클래스에

class Error {
  ...
  throw() {
    throw this
  }
}

이런 메소드 있으면 편할 것 같은데 왜 없지? 예를 들면:

# 현재
const user = findUser();
if (!user) {
  throw new Error("Not found user");
}

# `throw` 메소드
const user = findUser() ?? new Error("Not found user").throw();

이렇게 쓸 수도 있고 이름 별로면 raise 써도 되고 TC39 에 한번 제안해볼까...

3

오픈소스 레포에 Windsurf Agent로 짠 Swift 코드로된 PR을 날렸는데, 저자의 코드 리뷰를 복붙해서 그걸 그대로 다시 Windsurf Agent한테 전달하고 있다. 이게 머하는 짓이고...

macOS에서는 Xcode에서 git을 함께 주지만 brew install git으로 별도로 설치해서 사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Git 취약점 최신 패치버전은 2.50.1인데 Xcode git 버전은 2.39.5 버전이다 😱 (다른 패치버전들도 있는데 2.43 및 이후 버전들만 관리 중인가 보다[1])

https://github.blog/open-source/git/git-security-vulnerabilities-announced-6/


  1. https://lore.kernel.org/git/xmqq5xg2wrd1.fsf@gitster.g/ ↩︎

2

bgl gwyng shared the below article:

2020년의 하스켈에 대한 내 생각

박준규 @curry@hackers.pub

이 글은 하스켈이 30주년을 맞이한 2020년, 하스켈의 발전 방향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저자는 하스켈이 프로그래밍 언어 연구와 실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해왔지만, 이제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유용한 기능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복잡한 타입 시스템보다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제네릭스 활용과 유용한 확장 기능 활성화를 예시로 제시합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측면에서 의존성 주입 컨테이너를 활용한 단순한 구조를 제안하며, 타입 안정성을 약간 희생하더라도 테스트를 통해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결국, 저자는 "심플 하스켈" 또는 "지루한 하스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코드의 명확성과 개발의 즐거움을 강조하며, 하스켈 커뮤니티가 초보자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합니다. 이 글은 복잡한 이론적 탐구보다는 실용적인 개발에 초점을 맞춘 하스켈의 미래를 제시하며, 독자에게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합니다.

Read more →
15

bgl gwyng shared the below article:

스캠 케이스 스터디

leetekwoo @leetekwoo@hackers.pub

이 글은 인터넷에서 흔히 발생하는 스캠 시도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며, 특히 창작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작성자는 SNS를 통해 받은 "협업 제안"이 가짜 LinkedIn 프로필을 이용한 사칭임을 인지하고, 그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팔로워가 없는 점, 메시지의 말투 등 수상한 점을 발견하고 스팸 신고를 한 경험을 통해, 인터넷 상의 제안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A&R, 기획자, 스카우터 등을 사칭하여 기회를 미끼로 접근하는 사기에 주의해야 함을 당부하며, 창작 활동을 생계로 하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스캠이 더욱 위험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인터넷 제안 시 투명한 신분과 의사소통 채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독자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글입니다.

Read more →
5

이전에도 여러번 추천한 책이지만 저 같은 경우엔 "밑바닥부터 만드는 인터프리터 in Go"로 Go에 입문했습니다. 책의 목적은 인터프리터의 동작, 구현에 대한 것이지만 따라하면서 Go의 코드 스타일이나 테스트 작성 방법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었습니다. 아니면 "Must Have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도 좋습니다.

2
1
4
3

아는 친구한테 들은 얘기인데, 최근 이직한 회사에서 Python을 쓰는데 린트나 포매터 같은 것도 전혀 설정을 안 해놓고 살고 있기에 도입하자고 했더니 “그런 거 쓸 거면 Python 안 쓰죠”라는 말과 함께 제안을 거절 당했다고 한다. Python에서도 린트나 포매터는 물론이고 타입 체커까지 붙여서 살려면 살 수 있지만, 어쩐지 그런 거 신경 쓸 사람들은 최근 10년 사이에 다들 다른 언어로 넘어가 버리고 그런 거 신경 안 쓰는 사람들만 Python을 계속 쓰게 된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저를 비롯한) 특정 집단에서 온 사람들이 린터나 포매터에 신경을 덜 쓰는 것은 사실입니다. 사실 신경을 덜 쓰는 것을 넘어 미묘한 심리적 거부감까지 있다고 보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특히나 도메인이 많이 녹아 있는 코드 영역에 까지 기계적인 포매팅 룰을 강요해야 하는가에 반응들은 좋게 봐서 "문명의 충돌", 낮춰 보면 "부족의 자존심을 건 싸움박질"의 양상을 띄는 것 같습니다. 이런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생각할 거리로 fastai의 코딩 스타일 가이드(https://docs.fast.ai/dev/style.html)를 한번씩 다시 읽어 보는데 매번 제 관점도 조금씩 바뀌어 가는게 흥미롭네요.

  • Why not use PEP 8?

    I don’t think it’s ideal for the style of programming that we use, or for math-heavy code. If you’ve never used anything except PEP 8, here’s a chance to experiment and learn something new!

  • My editor is complaining about PEP 8 violations in fastai; what should I do?

    Pretty much all editors have the ability to disable linting for a project; figure out how to do that in your editor.

  • Are you worried that using a different style guide might put off new contributors?

    Not really. We’re really not that fussy about style, so we won’t be rejecting PRs that aren’t formatted according to this document. And whilst there are people around who are so closed-minded that they can’t handle new things, they’re certainly not the kind of people we want to be working with!

2
1
4
3
3
4

안녕하세요! 이번에 fedify 오픈소스 멘티로 참여하게 되어 해커스펍에도 가입하게 됐어요~~ 현재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일하고 있고 okky에서 팀원들을 만나 톡픽이라는 작은 프로젝트를 현재 만들고 있습니다! 7월까지 마무리 예정이라 출근 전 후로 바쁘게 달리고 있네요..!

그리고 오픈소스 멘티로도 참여하게되어 아주 바쁜 삶을 살게되었습니다. 이런 삶 너무 만족스럽습니다 전 약간 발등에 불이 떨어져야 그나마..해내는 편이기때문에

블로그에도 글을 쓰고 있어요! 저도 멋드러지게 쓰고 싶은데 아직 어떻게 접근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서 그냥 거의 조각글 수준으로 쓰고 있습니다...ㅋㅋㅋㅋ 한 번 구경오세요>< https://hyeonlogforweb.tistory.com/

8
1

@bglbgl gwyng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DSL 정의가 잦거나 좀 많이 유연한 형태로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있는 언어들(Lean/Agda/Coq가 예시로 언급된 걸 본 듯한)은 포매터에 대한 저항이 이해가 가기도 하는데, 요즘은 이런 경우에도 LLM 등을 사용해서 코드 스타일을 최소한의 수준(탭/스페이스 통일, trailing spaces 제거, 괄호 짝 및 인덴트 맞추기 등....)으로는 관리해주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

3
6
1

https://github.com/Perlmint/ARISU UI라고 할 것도 없지만 claude덕에 rust로 mac 어플리케이션 UI작성과 서버 실행/정지를 구현했습니다. 전에 문제였던 과도하게 친절한 단축키 맵핑은 아무래도 클라가 문제라, 이렇게 된 이상 클라도 만든다라는 방법 밖에 없지만, 일단 만들기 시작한 서버... 다 만들고 나중에 생각하려 합니다.

5

bgl gwyng shared the below article:

청개구리 스택 찬가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이 글은 저자가 기술 스택을 선택할 때 주류를 따르지 않고 대안적인 기술을 선택하는 경향, 즉 "청개구리 스택"을 추구하는 경험을 공유합니다. 청개구리 스택은 사용자가 적어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기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오픈 소스 기여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후발주자로서 대안적인 설계를 통해 정석 스택보다 나은 이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여러 부품을 직접 조립하는 과정은 번거롭지만 각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게 합니다. 저자는 오늘의 정석 스택도 과거에는 청개구리 스택이었을 수 있음을 지적하며, LLM 시대에도 청개구리 스택이 주는 배움의 기회는 여전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Stack Overflow에 답이 없는 길을 걸으며 얻는 깨달음은 온전히 자신의 것이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독자들에게도 주체적인 기술 선택과 도전을 권장합니다.

Read more →
29
1
3